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晉陽聯藁』의 문헌학적 연구

이용수 34

영문명
Philological study of Jinyangyeongo : Focusing on the first edition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장연수(Yeon-soo Jan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第77輯, 303~344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晉陽河氏의 世稿 『晉陽聯藁』를 문헌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글이다. 『진양연고』는 松軒 河楫(1303~1380), 苦軒 河允源(1322~1376), 木翁 河自宗(1350~1433), 敬齋 河演(1376~1453), 蓮塘 河友明(1413~ 1493)의 遺文이 차례로 수록되어 있으며, 1609년에 해인사에서 목판으로 처음 간행되었다. 편찬자는 暮軒 河渾(1548~1620)이다. 『진양연고』는 보편적인 세고와 마찬가지로 선조의 유문이 일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편찬하였다. 다만 이른 시기에 간행된 세고라는 점, 왕실 인물, 경상도 관찰사, 경상도 도사, 동래 부사 등이 간행에 관여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진양연고』는 1859년, 1907년에도 중간되었지만 구성과 내용은 거의 동일하므로 본고에서는 초간본의 편찬상의 특징 및 간행 경위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초간본의 구성과 편찬 배경을 살펴 『晉陽河氏世譜』와 표리를 이루어 가문의 위상을 제고하려는 의도 하에 『진양연고』가 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가장되어 오던 시문 외에 다양한 문헌에서 조상의 흔적을 수집하였음을 밝혔다. 대표적으로 『晉山世藁』, 『筆苑雜記』, 『海東名迹』, 『東國輿地勝覺』 등이 있는데 특히 『진산세고』의 구성 방식을 차용하였으며 『해동명적』의 유묵을 번각해 수록한 것은 동시기 세고에서 발견할 수 없는 특징이다. 또한 간행에 참여한 각 인물과 편찬자와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이러한 『진양연고』의 간행 방식이 일반적인 문집 간행의 사례와는 사뭇 다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해인사라는 장소성도 주목할 만한데, 『진양연고』가 간행된 사실을 통해 1609년 덕천서원이 사액되기 전에 남명학파의 출판 거점으로 해인사가 활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초간본이 몇 차례 교정되었음을 보여주는 단서를 찾아내어 완정한 세고를 만들기 위한 과정을 재구하였다. 이상의 사항들은 조선 중기 세고 편찬의 일면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게 한다는 점에서 문헌학적으로 일정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 philological review on Jinyangyeongo of Jinyang Ha family. Jinyangyeongo has been first published in woodblock print at Haeinsa in 1609, and, it is covering Songheon Ha Jeup(1303~1380), Koheon Ha Yoonwon(1322~1376), Mokong Ha Jajong(1350~1433), Kyungjae Ha Yeon(1376~1453) and Yeondang Ha Woomyung(1413~1493) in order. The complier of Jinyangyeongo is Ha Hon(1548~1620). Jinyangyeongo, like the general Sego, was compil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loss of the literary works of the ancestors. However, it is notable in that it was published in an early period, and that royal person, Gyeongsang-do provincial governors, Gyeongsang-do county governors, and Dongnae county governors were involved in its publication. Although Jinyangyeongo was revised in 1859 and 1907, the composition and content are almost the sam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pilation characteristics and publication history of the first edition. First, by examining the composition and compilation background of the first edition, it was confirmed that Jinyangyeongo was published with the intention of improving the status of the family by aligning with Jinyang- hassisebo. Next, it was confirmed that traces of ancestor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documents in addition to the poems which was mostly commended.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Jinsansego, Pilwonjapgi, Haedongmyeongjeok, and Donggukyeojiseungram. In particular, it adopted the composition method of Jinsansego, and collected the calligraphies in Haedongmyeongjeok, which is a feature that cannot be found in Sego of the same period. In addition, by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erson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and the compil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ublication method of Jinyangyeongo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general case of publishing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lso, the location of Haeinsa is noteworthy, and the fact that Jinyangyeongo was published confirms that Haeinsa was used as a publishing base for the Nammyeong School before Deokcheonseowon was royally chartered in 1609. Lastly, this study includes review of the process to create a complete Sego, by founding clues showing that the first edition was revised several times. The above details have certain philolog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allow us to confirm in detail one aspect of the Sego in the mid-Joseon Dynasty.

목차

1. 머리말
2. 『진양연고』의 판본과 구성
3. 초간본의 편찬상 특징
4. 초간본의 간행 경위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연수(Yeon-soo Jang). (2023).『晉陽聯藁』의 문헌학적 연구. 대동한문학, (), 303-344

MLA

장연수(Yeon-soo Jang). "『晉陽聯藁』의 문헌학적 연구." 대동한문학, (2023): 303-3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