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鄭世規의 패전을 소재로 한 병자호란 서사의 재구성 양상
이용수 36
- 영문명
- Aspects of reconstruction of the Byeongjahoran narrative based on Jeong Se-gyeong's defeat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김일환(Iihwan Kim)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第77輯, 33~5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병자호란의 전후 처리 과정은 일반적이지 않았다. 남한산성에 고립된 인조 임금을 포위에서 풀어내기 위한 시도가 있었지만, 어느 누구도 성공하지 못했다. 근왕에 나섰다 패전하여 전사한 고위 관료들은 포상을 받고, 생존한 장졸들은 크고 작은 처벌을 받았다. 전투에서 이겼기에 생존한 장수들도 책임 공방에서 벗어나기 어려웠다. 궤멸적인 패배를 입었음에도 목숨을 부지한 鄭世規는 도리어 그 패전을 공로로 인정받아 고위직으로 진출하는 예외적인 모습을 보였다. 일차적으로 鄭世規가 속한 정파 때문에 상대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여기에는 병자호란 패전의 책임에서 벗어나고, 이를 계기로 권력을 강화하고자 했던 인조의 의도도 있었다. 아울러 ‘근왕군에 참여했다’는 논리로 충성을 증명하고, 보훈 대상자가 되어 현실적인 이익을 취하고자 하는 사대부들의 욕망이 가세한 결과물이기도 하다.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작성된 사료와 개인 실기 자료, 후손들의 추모 기록을 다양하게 살펴, 이런 복잡한 양상을 추적해보았다.
영문 초록
The Manchu War was a strange war in many ways, but the post-war process was especially so. There were attempts to free King Injo, who was isolated in Namhansanseong Fortress, from the siege, but none were successful. High-ranking officials who died in the process received rewards, and generals who survived despite losing the battle received large and small punishments. Jeong Se-gyu, who survived despite suffering a crushing defeat, showed an exceptional performance by being recognized for his defeat and advancing to a high-ranking position. It received relatively good reviews primarily because of the political faction to which Jeong Se-gyu belonged. King Injo’s intention was to escape responsibility for the defeat in the Manchu War and use this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his power. In addition, it is also the result of the desire of noblemen to prove their loyalty with the logic of ‘participating in King Geun-wang’s army’ and to gain realistic benefits by becoming recipients of veterans. We traced these complex aspects by looking at a variety of historical materials, personal practical data, and descendants' memorial records written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Manchu War.
목차
1. 머리말
2. ‘戰敗爲功’의 성립 과정
3. 鄭世規에 대한 상반된 평가
4. 패전과 순절의 상호 보완 서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대동한문학 제81집 목차
- 병자호란을 ‘이야기’하는 두 가지 방식 - 이긍익의 『연려실기술』과 박종화의 『대춘부』(1937)를 중심으로
- 19세기 조·청 문인교류 연구의 검토 - 문인교류의 흐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