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颐齋 黃胤錫의 義理 인식
이용수 24
- 영문명
- Yijae Hwang Yun-Seok's Recognition of Loyalty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이상봉(Sang-Bong Lee) 유영옥(Young-Og Yu)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第77輯, 245~27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선은 兩亂을 겪은 뒤 성리학의 정통론과 의리명분론이 더욱 강화되었는데, 博學으로 유명한 성리학자 이재 황윤석 역시 이에 투철하였다. 이재는 義理를 ‘천하의 공변된 것’로 보아, 先輩, 師友, 同黨의 견해라도 만약 의심이 들면 구차하게 따라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그는 이러한 논리로 스승을 따르지 않고 人物性同論을 취한 李柬을 변론하기도 했다.
이재는 君臣의 의리에 대해 첫째 分義를 엄히 준수할 것을 촉구하고, 둘째 不事二君의 節義 정신을 강력히 표방하였다. 명나라는 嘉靖 연간에 공자의 칭호를 ‘大成至聖文宣王’에서 ‘至聖先師’로 바꾸었는데, 이재는 이것이 君君臣臣의 正名과 分義에 매우 합당하다고 高評하면서, 조선도 嘉靖개혁안에 따라 공자의 존호를 ‘至聖先師’로 개정하자고 주장하였다.
한편, 이재는 功이 아무리 커도 찬역과 변절의 죄가 있으면 그 功은 논할 것이 못 된다고 여겨, 衛 武公과 永樂帝 및 吳澄과 錢謙益 등을 비난하는 한편, 여말 절의자들은 높이고 조선 개국공신들은 비난하였다. 여기에는 麗末人의 정치적 행보를 오직 ‘節義’로만 포폄한 李選의 『勝國新書』가 적잖이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이재는 특히 성균관 府君堂의 최영 遺像을 보고는, 그가 살았으면 포은과 목은이 의지했을 것이고 그가 죽자 고려가 망했다고 말함으로써 최영의 위상을 提高하였다. 또한 이재는 조선에 난무하는 淫祀들을 비판했지만, 오직 최영의 사당만큼은 다른 음사와 구분해야 한다면서 그를 모신 府君堂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았다.
영문 초록
Hwang Yun-seok(黃胤錫) is a neo-Confucian scholar known for great learning who wrote and left a tremendous amount of journal titled 『Yijae Nango(頤齋亂藁)』 in the 18th century. He thoroughly sticked to neo- Confucian ideas, especially theory of legitimacy and theory of loyalty and cause, both of which were more strengthene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In a similar vein, 『Yijae Nango』 includes some evaluation of particular figures from Hwang Yun-Seok's own view of fidelity.
In its 2nd chapter, this study noted that Yijae regarded loyalty as ‘the most utilitarian thing in the universe[天下之公]’, so he claimed it's wrong for scholars to forcibly and unconditionally accept even opinions from their factions, teachers or friends if the opinions seem suspicious.
And, 3rd chapter of the study put a prior focus on Yijae's suggestion that the posthumous title honored on Confucius should be changed from ‘Munseonwang(文宣王)’ to ‘Jiseong Seonsa(至聖先師)’ on the basis of discrimination in duty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목차
1. 머리말
2. ‘天下之公’의 의리
3. 君臣分義와 節義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대동한문학 제81집 목차
- 병자호란을 ‘이야기’하는 두 가지 방식 - 이긍익의 『연려실기술』과 박종화의 『대춘부』(1937)를 중심으로
- 19세기 조·청 문인교류 연구의 검토 - 문인교류의 흐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