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崔南善 編 『新字典』의 揷圖 연구

이용수 4

영문명
Analysis of Illustrations in 『Sinjajeon(新字典)』 editedby Nam-seon Choi(崔南善)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영옥(YOUNGOG KIM)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第77輯, 131~15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1915년에 편찬된 崔南善의 『新字典』 내에 있는 揷圖의 현황을 파악하고, 『신자전』 내 삽도의 유래와 특징적인 면모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신자전』 이후 편찬된 한국의 한자자전 내 삽도에의 영향 및 동시기에 편찬된 한국과 중국의 한자자전 사이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한국 근대시기 자전에 대한 연구는 편찬의 동기 및 영향 관계, 구성 방식, 수록한 한자의 형・음・의 등에 대한 고찰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는 당시 자전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유용한 연구방법이다. 이에 더하여 자전 내에 수록되어 있는 삽도에 대해 주목하여 그것의 유래와 특징을 고찰하고 영향 관계를 검토한 본 연구도 또한 당시 자전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유용한 연구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남선 편 『신자전』은 근대시기에 한국에서 간행된 자전 중 처음으로 삽도를 활용한 경우로, 표제자 아래에 삽도하였다. 둘째, 최남선 편 『신자전』은 동시기 중국 陸爾奎 主編 『신자전』의 삽도에서 영향을 받았다. 구체적으로는 삽도의 기능에 대한 인식, 동일 표제자에 대하여 동일한 삽도를 제시하였다. 셋째, 최남선 편 『신자전』의 삽도는 陸爾奎 主編 『신자전』의 영향을 받은 것이나 陸爾奎 主編 『신자전』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崔南善 편 『신자전』 내 삽도는 王圻의 『三才圖會』, 聶崇義의 『三禮圖集注』와 유사한 경우도 있었다. 1915년에 편찬된 최남선의 『신자전』 내에 있는 삽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신자전』 내 삽도의 유래와 특징적인 면모를 고찰한 본 연구는, 이후 한국과 중국의 한자자전 사이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일조할 것이다. 더불어 향후 동아시아 서적 교류 연구에도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illustrations in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in 1915, and to analyze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llustrations in 『Sinjajeon』. Through this, the influence of illustrations in Korean Word Chinese-character dictionary compiled after 『Sinjaje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rd Chinese-character dictionarys compiled at the same time were identified. Research on the dictionary in Korea was mainly conducted on the ‘motivation and influence relationship of compilation’, ‘organizing method’, and ‘shape, sound, and meaning of recorded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to this, this paper focused on the illustrations in the dictionary to understand the origin of the illustrations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was reviewed. The results of the review are as follows. First,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was the first Korean dictionary to use illustrations, and was introduced under the Chinese character. Second,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was influenced by the illustrations of China's 『Xinzidian』 edited by Er-kui Lu at the same time. Third, the illustration of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was influenced by 『Xinzidian』 edited by Er-kui Lu. However, it was not necessarily the same with 『Xinzidian』 edited by Er-kui Lu. The illustrations in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were similar to Wang-Qi’s 『Sancaituhui』 and Nie-Chong Yi’s 『Sanlitujizhu』.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illustrations in 『Sinjajeon』 edited by Nam-Seon Choi in 1915 and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illustrations in 『Sinjajeon』.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influ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rd Chinese-character dictionary. In addition,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book exchanges in East Asia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근대시기 字典과 揷圖
3. 崔南善 編 『新字典』의 揷圖 현황
4. 중국 陸爾奎 主編 『新字典』과의 영향 관계
5. 崔南善 編 『新字典』의 揷圖 특징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옥(YOUNGOG KIM). (2023).崔南善 編 『新字典』의 揷圖 연구. 대동한문학, (), 131-159

MLA

김영옥(YOUNGOG KIM). "崔南善 編 『新字典』의 揷圖 연구." 대동한문학, (2023): 131-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