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金尙憲과 崔鳴吉의 漢詩에 나타난 丙子胡亂의 記憶과 傷痕
이용수 51
- 영문명
- The sorrow and suffering of the Byeongja War appeared in the poetry of Kim Sang-heon and Choi Myeong-gil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강지희(Ji-hee Kang)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第77輯, 5~3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남한산성을 지키고 있던 신료 가운데 척화파와 주화파로 가장 강렬하게 대립했던 청음 김상헌과 지천 최명길의 한시를 분석하여, 전쟁 종료 이후 그들의 뇌리에 남아 있는 전쟁의 참상과 그로 인한 상처, 고뇌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청음의 경우 그의 꼿꼿하고 강직한 성품과 태도는 병자호란이 끝난 후 지은 시들에서도 선명하게 나타난다. 그는 청나라를 여전히 ‘오랑캐’로 부르며 청나라에 대해 稱臣한 현실에 분노하였다. 조정의 논의가 항복하는 쪽으로 기울어지고 나서 그는 6일을 굶은 끝에 자결을 시도했지만 실패하였고, 이는 이후에도 그의 가슴속에 회한으로 남았다. 또한 맏형 김상용이 강화도에 피난하였다가 성이 함락되자 순절한 것은 깊은 슬픔으로 그의 내면에 각인되었다. 청나라로 끌려간 소현세자의 귀국과 죽음에 대해서는 아쉬움과 비통함을 금치 못하였다. 그는 청나라가 점점 강대해져 가는 시기에도 명나라가 쇠퇴해 감을 안타까워하였으며, 조선에 再造之恩을 베푼 명나라가 다시 天子國의 지위를 되찾기를 간절히 소망하였다.
지천의 경우 척화를 주장하는 청론을 비판하며 진정한 의리는 나의 君父를 지키고 내 나라를 보전하는 데 있다고 생각하였다. 시에도 이러한 그의 인식이 반영되어 전쟁에서 패배한 울분이나 청나라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기보다는, 병자호란 당시의 괴로웠던 기억, 전쟁에서 희생된 벗과 소현세자에 대한 안타까움, 조선이 당면한 현실에 대한 걱정, 죽기 전에 반드시 성은에 보답하리라는 다짐, 이 환란을 딛고 국운은 다시 흥성하리라는 기대와 소망 등을 말하고 있다.
이렇듯 두 사람은 병자호란에 대한 인식과 종전 후 대응에 있어서 매우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런 견해의 차이는 시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Chinese poems of Cheongeum Kim Sang- heon and Jicheon Choi Myeong-gil, who had the most intense conflict between the Cheokhwa and Juhwa factions among the retainers who guarded Namhansanseong Fortress, and attempted to examine the horrors of the war and the resulting wounds and agony that remained in their minds after the end of the war.
In the case of Cheongeum, his upright character and attitude are clearly visible in the poems he wrote after the end of the Byeongja War. He still called the Qing dynasty ‘barbarians’ and was angry at the reality of the Qing dynasty’s exclusion. After the court's discussion turned towards surrender, he attempted suicide after starving for six days, but failed, and this regret remained in his heart even afterwards. In addition, the fact that his eldest brother Kim Sang-yong took refuge in Ganghwa Island and died when the castle fell was imprinted in him with deep sadness. He could not help but feel regret and sorrow over the return and death of Crown Prince Sohyeon, who was taken to the Qing Dynasty. He was saddened by the decline of the Ming dynasty even as the Qing dynasty was becoming more and more powerful, and he desperately hoped that the Ming dynasty, which had shown favor to Joseon, would regain its status as an emperor kingdom.
In the case of Jicheon, he criticized Cheongron's insistence on reconciliation and thought that true loyalty lies in protecting one's lordly father and preserving one's country. This perception is also reflected in his poems, and rather than expressing resentment over defeat in the war or anger toward the Qing Dynasty, he expresses painful memories of the Byeongja War, sorrow for his friends and Crown Prince Sohyeon who were sacrificed in the war, and concerns about the reality facing Joseon, a promise to repay the favor before death, and an expectation and hope that the country will prosper again after overcoming this tribulation.
In this way, the two people show very different views in their perception of the Byeongja War and their response after the end of the war, and this difference in opinion can be seen to be reflected in their poetry.
목차
1. 緖言
2. 金尙憲의 詩에 나타난 淸에 대한 인식과 傷痕
3. 崔鳴吉의 詩에 나타난 전쟁의 기억과 苦惱
4. 結語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대동한문학 제81집 목차
- 병자호란을 ‘이야기’하는 두 가지 방식 - 이긍익의 『연려실기술』과 박종화의 『대춘부』(1937)를 중심으로
- 19세기 조·청 문인교류 연구의 검토 - 문인교류의 흐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