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義利’와 ‘興利’의 사이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Distinction between ‘Justice and Benefit(義利)’ and ‘Flourishing Benefit(興利)’ : Ogyu Sorai’s criticism over the distinction between ‘Justice and Benefit’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박상휘(Sang Whi Park)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第77輯, 161~203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에도 시대의 지식인들이 ‘利’라는 글자를 어떠한 의미로 사용했는지를 검토하여 일본에서 주자학적 義利之辨이 어떻게 비판되었으며, 利를 민생에 활용해야 한다는 가치관이 어떻게 발달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利’를 ‘利欲의 利’로 보느냐 ‘利物의 利’로 보느냐에 따라 ‘利’에 대한 평가는 양분된다. 주자학에서 ‘利’는 ‘利欲의 利’로 해석되어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에도 시대 초기의 지식인들은 ‘利’를 양가적인 것으로 보았고, 이것은 주자학적 義利觀을 비판적으로 보는 계기가 되었다. 에도 시대 중기에 오규 소라이가 주자학적 義利觀을 철저히 비판하였는데, 이는 ‘利’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을 크게 전환시켰다. 그는 ‘義’도 ‘利’도 사회적 직무에 힘쓰는 데에서 생겨난다고 보았으며, 利를 베푸는 일에 종사하는 자를 ‘君子’로, 利를 받는 일에 종사하는 자를 ‘小人’으로 규정하여 ‘君子’와 ‘小人’이 각각 ‘安民’과 ‘營生’에 힘씀으로써 사회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고 생각하였다. 더 나아가 오규 소라이는 『孟子』의 義利之辨은 학파 간의 언쟁이 심했던 百家爭鳴의 상황에서 개진된 담론이며, 후세 사람들이 이 담론을 그대로 본뜨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영향을 받은 일본 지식인들은 聖人을 利를 물리친 도덕적 인격자가 아니라 백성에게 利를 베푸는 통치자라고 인식하였으며, 정책 차원에서 ‘興利’를 실행하는 것은 옛 聖人의 뜻과도 일치한다고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a word, ‘benefit (利)’, used by intellectuals in the Edo period to reveal 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justice (義) and benefit (利) was criticized in Japan and how the value of using benefit (利) for people’s livelihoods developed.
The evaluations of ‘benefit (利)’ are divided depending on whether you view 利 as ‘利 of liyog (利欲)’ or ‘利 of limul (利物)’. In Neo-Confucianism, ‘利’ was interpreted as ‘利 of liyog (利欲)’, so it was used in a negative sense. However, intellectuals in the early Edo period viewed ‘利’ ambiva- lently, which served as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Neo-Confucian view of justice and benefit critically. In the middle of the Edo period, Ogyu Sorai criticized the Neo-Confucian view of justice and benefit thoroughly, which significantly changed the Japanese perception of ‘利.’ He thought that both ‘justice (義)’ and ‘benefit (利)’ came from striving on social duties and defined those engaged in giving benefit (利) as ‘the superior man (君子)’ and those engaged in receiving benefit (利) as ‘the mean man (小人)’. He believed that both the superior and mean should endeavor for ‘pacifying the people (安民)’ and ‘making livelihoods (營生)’ so as to keep the society stable. Furthermore, Ogyu Sorai argued that 『Mencius (孟子)』’s view of justice and benefit was a discourse presented in the context of Baekgajaengmyeong (百家爭鳴) in which there was a lot of dispute between schools, and it did not make sense for posterity to imitate this discourse as it is. Japanese intellectuals influenced by him recognized that the saint as a ruler who gave benefit (利) to the people, not a moral person who rejected benefit (利), and argued that to carry out ‘flourishing benefit (興利)’ at the policy level conformed to the will of the old saint.
목차
1. 서론
2. 주자학적 義利觀에 대한 회의
3. ‘施利’와 ‘受利’
4. 『孟子』의 ‘義利’와 『管子』의 ‘興利’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대동한문학 제81집 목차
- 병자호란을 ‘이야기’하는 두 가지 방식 - 이긍익의 『연려실기술』과 박종화의 『대춘부』(1937)를 중심으로
- 19세기 조·청 문인교류 연구의 검토 - 문인교류의 흐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