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이용수 55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al Academic Advising Based on Student Engagement for University Freshma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회 고장완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5호, 333~34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성장·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를설계·운영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신입생 학사지도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를 설계하였다. 둘째, 수도권 소재 A대학교 1학년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2시간씩, 총 5주에 걸쳐 세미나를 운영하였다. 셋째, 참여자를 대상으로 학습동기 및 교육효과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통해 세미나 운영 전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인터뷰를통해 질적 측면에서의 세미나 운영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적 학사지도세미나는 신입생의 학습동기 유발, 학업 및 진로설계에 도움, 교수자의 수업운영 방식과 교육내용에대한 만족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참여, 상호작용 중심의 수업활동은 신입생의 자기성찰과 타인 이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입생 대상의교육이 교수자 중심의 강의보다는 학생참여 중심의 발표와 토론 형태로 진행되어야 하고, 대학생활과실제적으로 연계되는 자기이해, 학업 및 진로설계에 대한 전문적인 학사지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시사한다. 이 연구는 소규모 신입생 그룹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진행하여 학생 개개인의 학습동기와교육효과성 변화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al Academic Advising Seminar” for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student engagement. To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steps were taken. First,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on academic advising and designed a developmental academic advising seminar centered on student engagement. Second, the seminar was provided to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for two hours per week for the first five weeks at “A”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rd,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seminar participation were analyzed through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after conducting a pre- and post-test on learning motivation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for participants. In addition, through interviews, the effects of the seminar were examined in terms of qualit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al academic advising semina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learning motivation, helping academic and career design, and improving satisfaction of faculty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 Second, academic advising focused on diverse student activities, helping them with self-reflect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ing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focusing on student engagement, professional academic advising on self-reflection, and academic and career path designing, all of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university life, rather than professor-centered lectur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conducted for a small group of freshmen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to make changes in educational effectivenes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 대학 인성교육으로서의 ‘사회원예’의 목표와 실제
- 대학 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대학 교양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활용 사례 연구
- 대학생의 공감교육을 위한 포토보이스 방법 활용 사례 연구
- 비대면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과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내 커뮤니티 매핑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장소감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에서 학습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대면 및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발표실습 및 동료피드백 양상 비교 분석
- K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역량분석 사례
- 교양필수 기초코딩 교과목에서의 ChatGPT 활용에 대한 교육 효과 연구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교양강좌의 설계와 실천 연구
- 교양교육에서의 근대 국한문 혼용 신문자료 활용을 위한 텍스트 처리(text processing) 자동화 방식의 고안과 추가적인 과제
- 지능 자동화 시대,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
- 융합시대 역사 교양교육
- Model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Global Competence: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College EFL Learners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