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능 자동화 시대,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
이용수 122
- 영문명
- The Meaning of Post-Labor and the Value of a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Age of Intelligent Autom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재희 배식한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5호, 25~3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인간의 노동과 지식의 가치가 달라지는 지능 자동화 시대에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에 대해 논증한다. 특히 프랑스 기술철학자 시몽동과 스티글러의 관점에서 디지털 정보기술에 기반한 자동화 사회의 본질과 인간다운 삶의 조건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인공지능과 더불어 도래하게 될 탈-노동 사회의 새로운 삶의 기예로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시몽동의 기술정신과기술문화는 인공지능과 경쟁하는 노동이 아니라 인공지능과 더불어 자신의 일과 공적 활동을 꾸려갈 수 있게 하는 탈-노동의 새로운 존재 양식을 보여준다. 스티글러는 자동화 사회의 알고리즘 통치성에 의한 노동과 정신의 위기를 새로운 지식과 일의 발명 기회로 전환할 것을 촉구하며 시몽동의 전망을 구체화한다. 지능 자동화 시대는 노동 생산성과 전문성 중심에서 탈-노동과 자유교양 중심으로 삶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다. 자동화로 인해 노동으로부터 해방된 시간을 나 자신과 타인의 삶을 돌보며 문화적 유산의 상속과 새로운 가치 생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삶의 기예를 키워야 한다. 교양교육은 자동화 기술 환경과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인간의 조건을 이해하고 인간 정신의 가치와 인간다운 삶의 의미를 새롭게 발굴할 수 있도록 인문학적 안목을 갖춘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about the meaning of post-labor and the value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intelligent automation, where the value of human labor and knowledge is changing.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nature of Automatic Society based on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conditions of human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French technology philosophers Simondon and Stiegler. Based on this, the article reveals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as a new life ‘ars’ in the post-labor society that will com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Simondon's technical mentality and technical culture reveal a new model of post-labor existence that enables people to organize their work and public activities alongside AI, rather than in competition with it. Stiegler embodies Simondon's outlook by calling for a transformation of the crisis of labor and spirit caused by the algorithmic governmentality of Automatic Society into an opportunity for the invention of new kind of knowledge and work. The era of intelligent automation shifts the paradigm of life from labor productivity and expertise to post-labor and liberal arts. We need to cultivate life ‘ars’ so that the time freed from labor due to automation can be used to take care of our own lives and the lives of others, inherit our cultural traditions, and produce new values.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fostering digital literacy with a humanistic outlook in order for us to understand the human condition of living in an automated technological environment and to discover the value of the human spirit and the meaning of human life.
목차
1.들어가며: 지능 자동화로 사라지는 노동과 사유능력
2.자동 기계의 신화를 넘어서: 기술과 인간의 관계
3. 정보네트워크 사회의탈-노동 기술문화
4. 자동화 사회의 알고리즘 통치성과 앎의 프롤레타리아화
5.탈-노동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조건들
6. 나가며: 교양교육의 가치, 인간다운 삶의 기예 재발명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 대학 인성교육으로서의 ‘사회원예’의 목표와 실제
- 대학 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대학 교양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활용 사례 연구
- 대학생의 공감교육을 위한 포토보이스 방법 활용 사례 연구
- 비대면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과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내 커뮤니티 매핑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장소감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에서 학습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대면 및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발표실습 및 동료피드백 양상 비교 분석
- K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역량분석 사례
- 교양필수 기초코딩 교과목에서의 ChatGPT 활용에 대한 교육 효과 연구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교양강좌의 설계와 실천 연구
- 교양교육에서의 근대 국한문 혼용 신문자료 활용을 위한 텍스트 처리(text processing) 자동화 방식의 고안과 추가적인 과제
- 지능 자동화 시대,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
- 융합시대 역사 교양교육
- Model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Global Competence: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College EFL Learners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