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양교육에서의 근대 국한문 혼용 신문자료 활용을 위한 텍스트 처리(text processing) 자동화 방식의 고안과 추가적인 과제
이용수 95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Text Processing Automation Method for Using Modern Korean-Chinese Mixed Text in Gene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영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5호, 41~5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존에 한국사 교양교육 현장에서 사료 활용의 필요성은 인식되어 왔지만 사료를 곧바로 활용하기에는 난점이 있었다. 특히 학생들에게 직접 사료를 검색하며 살펴보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기 위해서는그 사료가 국역이 제공되는 것이어야 했다.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육에서의 근대 국한문 혼용 신문자료활용을 위한 텍스트 처리(text processing) 자동화 방식의 고안과 추가적인 과제에 관해 검토해보았다. 한국 근대 신문자료는 역사학뿐 아니라 정치학, 사회학 등의 제 영역에 있어 좋은 자료가 되며, 본연구에서는 대량으로 내려 받은 텍스트를 일괄 처리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근대 국한문 혼용의신문자료를 교양교육에 활용하고자 할 때 대부분의 체언이 한자로 되어 있고 아래아 등 옛한글 요소가다수 포함되어 있는 등, 별도의 사료 가공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학생들이 독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자동화 처리가 가능하다면, 특정 토픽과 관련된 기사들을 뽑아낸 후 가독성을 높인 기사를 제공하여함께 읽어 나가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고, 또한 툴 자체를 추출하여 학생들에게 활용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직접 필요한 사료를 찾아보고 활용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고안한 자동화 처리 방식은 다음과같다. 소스 데이터에서 옛한글 부분의 문자코드를 표준화하고 옛 방식의 어조사 등을 현대어 표기로대체해주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했다. 다음으로 한자 부분에 음독 한글 표기를 괄호로 병기해주는 처리를하였다. 각기 순서들이 차례대로 수행되어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도록 하였으며, 결과물을 검토해보면상당한 가독성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 상황에서는 한계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어떤한자가 복수의 독음을 가지는 경우 유니코드 대표 음가가 독음으로 달리게 되는데, 그 한자 단어에맞지 않는 독음일 경우 오히려 독해를 방해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수정을 해준후 교육에 활용해야 한다. 또한 가공하고자 하는 텍스트가 국한문 혼용이기는 하나 한문 표현의 빈도가높을 경우 독음이 달린다고 하더라도 한문 지식이 없는 학생이 독해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경우까지도 포함하여 매끄럽게 변환하기 위해서는 한문 형태소를 분석하는 기술의 개발이 진전될것을 요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utomated text processing method for the use of modern Korean-Chinese mixed newspaper materials in liberal arts education. This article describes the process, its results, and additional tasks. In particular, the focus was placed on the batch processing of texts downloaded in large quantities. The problem with the existing computerized and serviced Korean-Chinese mixed texts is that most of the old Korean texts were computerized with PUA codes, which are not currently in Unicode standards. To process or analyze texts in computer language,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se characters into standard code methods. Based on the standardized data brought in, the work of replacing the old form of words with the current Korean notation was carried out. Finally, in the text, phonological and Korean notation of Chinese characters are added in parentheses. Reviewing the results show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adability. If you want to use moder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 materials for liberal arts education, it may be difficult unless a separate feed process is premised. When trying to use modern Korean-Chinese newspaper materials for liberal arts education, it can be difficult due to the problem of notations. Furthermore, this automated form of processing allows instructors to extract articles related to specific topics and to read articles with students that increase their readability. But as things stand, there are limits. For example, if a Chinese character has multiple consonants, there may be cases in which a Chinese character has a reading sound that does not fit the Chinese character word and rather interferes with the reading of it. These should be used for education purposes after correction. In addition, even if it is a Korean-Chinese mixed text and pronunciation is provided here, it is difficult for a student without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to read that text if a lot of classical Chinese expressions are mixed in. This case ultimately becomes a problem that can be solved by the development of a classical Chinese morpheme analyzer. If progress is made on such things as the construction of the classic Chinese Corpus, it will be of great help in the development of history and liberal arts teaching tools.
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사 교양교육현장에서의 사료 활용의 중요성과 난점
3. 교양교육에의 활용을 위한 근대 국한문 텍스트 처리의 단계
4. 다량의 데이터에 적용한 가공 결과물의 검토 및 과제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 대학 인성교육으로서의 ‘사회원예’의 목표와 실제
- 대학 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대학 교양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활용 사례 연구
- 대학생의 공감교육을 위한 포토보이스 방법 활용 사례 연구
- 비대면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과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내 커뮤니티 매핑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장소감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에서 학습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대면 및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발표실습 및 동료피드백 양상 비교 분석
- K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역량분석 사례
- 교양필수 기초코딩 교과목에서의 ChatGPT 활용에 대한 교육 효과 연구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교양강좌의 설계와 실천 연구
- 교양교육에서의 근대 국한문 혼용 신문자료 활용을 위한 텍스트 처리(text processing) 자동화 방식의 고안과 추가적인 과제
- 지능 자동화 시대,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
- 융합시대 역사 교양교육
- Model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Global Competence: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College EFL Learners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