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odel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Global Competence: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College EFL Learners
이용수 68
- 영문명
- Model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Global Competence: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College EFL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오은주 김은영 명민정 전소현 김연재 장영현 윤수진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5호, 69~9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점점 더 긴밀하게 상호 연결된 현대 사회에서, 세계화로 인해 발생하는 복잡한 이슈들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시민성 및 역량의 배양은 필수적이다. 이 연구는 교실내 학습과 교실외 학습을 연계하는 동시에, 글로벌 역량을 교실외 학습 환경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글로벌 시민성 및 역량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교양영어 수업 모형(Oh, 2021)을 바탕으로, 교실외 학습환경에서 실행 가능한 지원적 실천 공동체(CoP) 모형을 연구한다. 이 연구는 특히 온라인 CoP 모델이 지속적인 글로벌역량의 실행 및 적용을 위한 플랫폼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 그 잠재적 가능성을 조사한다.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방법론을 활용하여, 이 연구는 CoP에 참여하는 다섯 명의 대학 EFL 학습자의 경험을 심층 분석한다. 연구 질문은 학생들의 CoP경험, 모형 개선을 위한 잠재적 아이디어, 기계 번역기와 ChatGPT 등 디지털 도구가 학습 여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연구 결과, CoP 활동은 학습자의 태도, 학습 전략, 세계시민성 및 역량의 배양에 있어 변혁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세계시민성 및 언어 역량을 개발하는 데 있어, 학습자가 주체성을 발휘하여 주도적으로 기계번역기와 ChatGPT와 같은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습 활동의 근거에 대한 학습자 자신의 이해가 의미 있는 학습몰입을 유도하는 핵심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글로벌 역량 배양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학습자가 상호 연결 및 의존된 세계에서 의미 있는 세계시민으로 성장 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과 시각을 교실외 학습으로 구현할 수 있는 모형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In our increasingly interconnected contemporary society, the imperative of nurturing global citizenship and competence is evident when it comes to addressing the multifaceted challenges stemming from globalization. This study explores strategies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in-class and out-of-class learning while expanding the reach of global competence into out-of-class learning settings. Building upon the General English course model by Oh (2021), which focuses on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and competenc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a supportive Community of Practice (CoP) model tailored for out-of-class learning environments. This study specifically assesses the potential of an online CoP model as a platform for the continuous cultivation and application of global citizenship and competence. Employing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ic approach, the research delves into the experiences of five university-leve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learner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is CoP. The research scrutinizes various dimensions of their engagement, encompassing their experiences within the CoP, prospective enhancements to the model, and the impact of digital tools on their learning journey, such as machine translation and ChatGPT on their learning journey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lluminate the transformative effects of CoP activities on learners' attitudes, learning strategies, and the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and competence. Furthermore, it underscores the pivotal role of learners proactively harnessing technology, such as the ones mentioned above, in advancing both their level of global citizenship and their language proficiency. Additionally, the research underscores learners' comprehension of the rationale behind learning activities as a critical factor in fostering meaningful engagement. Ultimately, this research offers a blueprint for nurturing the essential skills and perspectives necessary for learners to evolve as engaged global citizens in an interconnected and interdependent world. It aligns with the imperative of fostering global competence in response to the pressi ng demands of our globali zed era.
목차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3. Methodology
4. Findings
5.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 대학 인성교육으로서의 ‘사회원예’의 목표와 실제
- 대학 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대학 교양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활용 사례 연구
- 대학생의 공감교육을 위한 포토보이스 방법 활용 사례 연구
- 비대면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과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내 커뮤니티 매핑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장소감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에서 학습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대면 및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발표실습 및 동료피드백 양상 비교 분석
- K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역량분석 사례
- 교양필수 기초코딩 교과목에서의 ChatGPT 활용에 대한 교육 효과 연구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교양강좌의 설계와 실천 연구
- 교양교육에서의 근대 국한문 혼용 신문자료 활용을 위한 텍스트 처리(text processing) 자동화 방식의 고안과 추가적인 과제
- 지능 자동화 시대,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
- 융합시대 역사 교양교육
- Model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Global Competence: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College EFL Learners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