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이용수 80
- 영문명
- A Study on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of Mature Students in Liberal Arts Courses at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강경리 최재혁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5호, 297~31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본연구에서는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만학도 5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인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입학 시기에 만학도는 고등학교 동기와 함께 대학에서 학습 시도, 고등학교 과정 이수 직후 대학에서 학습 시도, 생활의 원동력으로서 대학에서 학습 시도, 자격증 취득의 목적으로 대학에서 학습 시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 강좌 수강 신청 시기에 만학도는 학부의 일괄적인 시간표 편성에 따른 교양 강좌 선택, 대학의 교양교육 정책에 따른 원격 수업 유형의 교양 강좌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 강좌 수강 시기에 만학도는 경쟁과 협력을 통해 함께 하는 학습, 반복을 통해 노력하는 학습, 재미를 통해 참여하는 학습, 경험을 통해 공감하는 학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 강좌 평가 시기에 만학도는 자신에 대한 믿음을 통한 성장, 배움의 가치에 대한 깨달음을 통한성장, 가족과의 소통으로 생활의 만족감을 통한 성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음 학기 준비시기에 만학도는 대학 교육에서 청강을 통한 새로운 학습에 도전, 대학 교육에서 동아리 활동을 통한 새로운 학습에 도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학도 대상의 교양 강좌는 평생교육과 연계를 통하여 기존의 대학 교양 강좌가 안고 있는 폐쇄성과 경직성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만학도 대상의 교양 강좌는 선행 및 심화 프로그램을 통하여 만학도에게 지속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만학도 대상의 교양 강좌는 일상생활과의 관련성 강화, 만학도와 만학도, 만학도와 학령기 대학생의 상호작용 강화를 통하여 만학도의 학습동기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 넷째, 만학도 대상의 교양 강좌는 만학도가 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of mature students in liberal arts courses at universities. In this study, the above mentioned experiences were analyz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argeting five mature students enrolled a B liberal arts course at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 the time of entering university, the research showed that mature students attempted learning at university with high school friends, attempted learning at university immediately after completing high school courses, attempted learning at university as a driving force for life, and attempted learning at university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qualifications. Second, at the time of their application for liberal arts courses, the mature students chose liberal arts courses based on the department's collective timetable and the liberal arts policy in relation to the distance education provided by the university. Third, during the liberal arts courses, the mature students learned with classmates throug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hrough effort of repetition, through joyful participation, and through empathy understanding. Fourth, at the time of evaluation of liberal arts courses, the mature students grew through a belief in themselves,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value of learning, and through their sastifactions with life as it pertained to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families. Fifth, in the preparation period for the next semester of university, the mature students challenged themselves by auditing other university classes and by engaging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restrictiveness and rigidity of the existing university liberal arts courses by linking them with lifelong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learning opportunities for mature students through advanced programs and in-depth programs in liberal arts courses. Third, it is necessary to promote learning motivation for mature students by strengthening the relevance of university courses with the real lives of their learners, as well by strengthening the interactions of students in liberal arts courses. Fourth, it is necessary to build a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mature students can learn autonomousl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 대학 인성교육으로서의 ‘사회원예’의 목표와 실제
- 대학 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대학 교양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활용 사례 연구
- 대학생의 공감교육을 위한 포토보이스 방법 활용 사례 연구
- 비대면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과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내 커뮤니티 매핑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장소감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에서 학습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대면 및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발표실습 및 동료피드백 양상 비교 분석
- K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역량분석 사례
- 교양필수 기초코딩 교과목에서의 ChatGPT 활용에 대한 교육 효과 연구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교양강좌의 설계와 실천 연구
- 교양교육에서의 근대 국한문 혼용 신문자료 활용을 위한 텍스트 처리(text processing) 자동화 방식의 고안과 추가적인 과제
- 지능 자동화 시대,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
- 융합시대 역사 교양교육
- Model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Global Competence: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College EFL Learners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