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대면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과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4
- 영문명
- Effectiveness of the ‘Untact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Leadership Development of Unification Awareness of MZ Generation: FGI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오은경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5호, 221~2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MZ세대들의 통일의식을 살펴보고 리더십 역량 계발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2021학년도 1,2학기 비대면 통일교육 관련 교과목을 모두 수강한 4년제 대학생 중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12명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제반 절차를 거쳤으며 모든 자료는 전사하여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 교양교과목으로서의 의의, 통일에 대한 긍정적 인식, 통일에 대한 부정적 인식, 교육과정을 통한 리더십 함양과 비전 설계 등 총 4개의 범주에 대해 12개 하위범주, 30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설문형태인 통일의식을 묻는 연구조사 한계에서 벗어나 MZ세대들이 경험한 시대 환경적 특성들이 북한과 통일의식에 대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통일의식 함양과 리더십역량 증진을 위한 통일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unification awareness of the MZ generation and develops unification leadership. To extract data of detail, the study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included a total of 12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throughout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of 2021. Necessary procedures were taken to prevent ethical breaches from study participants, and all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a process of transcription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12 subcategories with 30 concepts were derived from 4 areas of categories. Namely, research results, significance as a liberal arts subject, positive perception of unification, negative perception of unification, leadership cultivation through education and vision design (there are more than 4 categories listed). Through this study, a plan for unification education was derived and proposed to raise awareness of unif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competency.
목차
1. 서론
2.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연구내용 및 방법
4. 연구결과 및 분석
5. 결과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 대학 인성교육으로서의 ‘사회원예’의 목표와 실제
- 대학 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대학 교양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활용 사례 연구
- 대학생의 공감교육을 위한 포토보이스 방법 활용 사례 연구
- 비대면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과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내 커뮤니티 매핑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장소감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에서 학습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대면 및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발표실습 및 동료피드백 양상 비교 분석
- K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역량분석 사례
- 교양필수 기초코딩 교과목에서의 ChatGPT 활용에 대한 교육 효과 연구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교양강좌의 설계와 실천 연구
- 교양교육에서의 근대 국한문 혼용 신문자료 활용을 위한 텍스트 처리(text processing) 자동화 방식의 고안과 추가적인 과제
- 지능 자동화 시대,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
- 융합시대 역사 교양교육
- Model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Global Competence: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College EFL Learners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