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역량분석 사례
이용수 33
- 영문명
- A Case of Using Competency Analysis for Organizing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of K Junior College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문영빛 김신곤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5호, 125~14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등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역량중심교육과정을 교양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K 전문대학에서 설정한 역량을 분석하였다. 역량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학생과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Borich 요구도와 LFF 분석을 통해 교양교육과정 편성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역량을 추출하였다. 설문대상은 학생과 교수자이며, 학생은 25세를 기준으로 구분하여집단별 역량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학생과 교수자 모두 ‘대인관계능력(O2)’의중요도를 높게 인식했으며,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본 역량은 ‘진로목표설정’, ‘직무역량분석’,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이 있었다. 가장 큰 차이점은 교수자와 학생의 우선적 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였으며, 조금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교수자는 대인관계 및 문제해결 관련 역량을, 학생들은 진로 관련 역량을 중요하다고 인식하다. 25세 이상 학생의 경우에는 ‘자기주도성(F2)’과 관련한 역량의 요구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결과에 따라 도출된 시사점은 첫째, 진로설계 관련 교과목을 중요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학습자 주도적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과목이 필요하고, 셋째, 교수자와 학습자 간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K College’s competencies were analyzed in order to systematically apply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hich is emphasized in higher education, to the liberal arts curriculum. In order to obtain data for competency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tudents and professors, and through the use of Borich needs and LFF analysis, competencies that should be considered preferentially were extracted while organizing a liberal arts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students and professors.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age (25), and the priority of competency for each group was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terpersonal Skills (O2)’ were recognized as being of high importance to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and the competencies that were considered important to both groups were ‘Setting Career Goals’, ‘Job Competency Analysis’, and implementing a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y’.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as their perception regarding prior competency. Looking at the data more closely, professors percieve competencies concerning interpersonal and problem-solving skills to be important, while students perceive career-related competencies as most important. For the students over the age of 25, the demand for competencies related to ‘Self-direction (F2)’ scored higher. From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areer design-related subjects as being more important, and second, the lectures that can help learner-directed learning are needed. Thirdly, we need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in these area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목차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K 전문대학의 핵심역량(FOCUS 역량) 구성 체계 및 교육과정 연계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 대학 인성교육으로서의 ‘사회원예’의 목표와 실제
- 대학 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대학 교양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활용 사례 연구
- 대학생의 공감교육을 위한 포토보이스 방법 활용 사례 연구
- 비대면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과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내 커뮤니티 매핑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장소감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에서 학습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대면 및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발표실습 및 동료피드백 양상 비교 분석
- K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역량분석 사례
- 교양필수 기초코딩 교과목에서의 ChatGPT 활용에 대한 교육 효과 연구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교양강좌의 설계와 실천 연구
- 교양교육에서의 근대 국한문 혼용 신문자료 활용을 위한 텍스트 처리(text processing) 자동화 방식의 고안과 추가적인 과제
- 지능 자동화 시대,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
- 융합시대 역사 교양교육
- Model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Global Competence: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College EFL Learners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