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교양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활용 사례 연구
이용수 65
- 영문명
- A Case Study of Using Problem-Based Learning in a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room: Focusing on a music appreciation-based clas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한수정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5호, 259~2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 음악감상 기반 수업에 PBL 활용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창의적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의 효과를 분석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향상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국내 A지역 4년제 B대학교에서 ‘음악의 이론과 감상’ 교과에 참여하는 남녀대학생 총 66명이다. 수업운영은 시대별, 장르별 이론 지식 및 관련 음악감상활동과 함께 10주간 PBL을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S PSS program을 사용해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증을 하였으며, 개별 및 팀별 평가를 분석하고, 성찰일지로 질적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PBL 적용 음악감상 기반 교양수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 창의적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에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성찰일지 분석결과, 창의적사고의 발현과 공감적 소통의 긍정적 의미 발견,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력 함양의 유익함, 팀 기반 협력수업의 효율성, 미래 학습설계 및 공동체활동의 기대에 관한 인식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에 PBL은 대학생의 교양 음악수업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으로, 학습자 중심의 차별화된 수업을 설계, 운영하여 학습동기 및 참여를 중진하고 만족도를 향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음악 비전공 대학생들이 새로운 사고의 관점에서 심도 있는 성찰을 하도록 실제 생활을 적용한 PBL 주제 및 과제의 부여가 강조되며, PBL을 적용한 학습 평가방법 제고와 혁신적 교수방식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수행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the use of PBL in a university liberal arts music appreciation-based class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66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ourse ‘Theory and Appreciation of Music’ at a four-year B university in Region A in Korea. The class was run as a PBL for 10 weeks with theoretical knowledge of each period and genre along with related music listening activities.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SPSS program to conduct pre-post t-tests, the analysis of individual and team evaluations, and qualitative data analysis using reflection journals. Firs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PBL-applied music appreciation-based liberal arts classes.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flection journals revealed the expression of creative thinking and the positive meaning of empathetic communication, the benefits of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the effectiveness of team-based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expectations of future learning design and community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PBL is an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university students' liberal arts music classes. Thus, it is necessary for instructors to design and operate differentiated classes centered on learners to promote learning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and to improve the students'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assignment of PBL topics and tasks that apply to real life is emphasized to encourage non-music majors to reflect deeply from the perspective of new thinking. Finally,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instructors improve upon their learning assessment methods and that they conduct continuous research on innovative teaching methods using PBL.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 대학 인성교육으로서의 ‘사회원예’의 목표와 실제
- 대학 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대학 교양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활용 사례 연구
- 대학생의 공감교육을 위한 포토보이스 방법 활용 사례 연구
- 비대면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과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내 커뮤니티 매핑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장소감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에서 학습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대면 및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발표실습 및 동료피드백 양상 비교 분석
- K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역량분석 사례
- 교양필수 기초코딩 교과목에서의 ChatGPT 활용에 대한 교육 효과 연구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교양강좌의 설계와 실천 연구
- 교양교육에서의 근대 국한문 혼용 신문자료 활용을 위한 텍스트 처리(text processing) 자동화 방식의 고안과 추가적인 과제
- 지능 자동화 시대,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
- 융합시대 역사 교양교육
- Model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Global Competence: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College EFL Learners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