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공감교육을 위한 포토보이스 방법 활용 사례 연구
이용수 107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Use of the Photovoice Method for the Empathy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class ‘Exploring Human Relations and Emotions in the AI Era’ at D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임윤서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5호, 241~25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위한 공감교육을 확대하기 위해 참여적 실행연구인 포토보이스 방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어떤 부분에서 공감능력을 함양하게 되었는지 살펴보고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포토보이스는 연구 참여자가 제공한 사진을 통해 개인의 경험을 공유하고 사회적 실천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개인적 공감과 사회적 공감이 균형 있게 성장할 수 있게 해준다. 서울 소재 D대학교의 교양 수업인 ‘AI시대의 인간관계와 감정탐구’ 과목에서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한프로젝트를 시도하였다. 수업에는 3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오프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디지털도구를 활용하였다. 교수자는 학생들에게 ‘AI시대 청년의 외로움’이라는 포토보이스 프로젝트의 대주제를 제시하였고, 학생들은 팀별로 포토보이스 활동을 전개하였다. 활동의 성과로 학생들은 개인적공감의 영역에서 타인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 공감적 소통 능력이 함양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포토보이스의 결과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사회적공감 역량도 향상되었다고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포토보이스 방법이 보다 다양한 대학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photovoice method,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 to an actual class in order to expand empathy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d where students developed an ability to empathize and then to provide implications. Photovoice enables students to develop a balanced growth of personal and social empathy by sharing personal experiences and by exploring social action through photos provided by research participants. A project utilizing the photovoice method was presented in the course ‘Exploring Human Relations and Emotions in the AI Era’, a liberal arts class at D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class was attended by 30 students and digital tools were used mainly in offline classes. The instructor introduced the main topic of the photovoice project, ‘Loneliness of Youth in the AI Era’ and the students carried out photovoice activities in teams. As a result of the activities, students stated that they developed their ability to understand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others in the areas of personal empathy and in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empathetically. Also, in the process of sharing the results of photovoice, the social empathy capacity of students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seek policy alternatives improv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guidelines will be put forth so that the photovoice method can be used in a wider variety of college class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포토보이스를 적용한 감정탐구 수업 설계
4. 포토보이스 활동의 분석과 실천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 대학 인성교육으로서의 ‘사회원예’의 목표와 실제
- 대학 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대학 교양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활용 사례 연구
- 대학생의 공감교육을 위한 포토보이스 방법 활용 사례 연구
- 비대면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과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내 커뮤니티 매핑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장소감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에서 학습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대면 및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발표실습 및 동료피드백 양상 비교 분석
- K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역량분석 사례
- 교양필수 기초코딩 교과목에서의 ChatGPT 활용에 대한 교육 효과 연구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교양강좌의 설계와 실천 연구
- 교양교육에서의 근대 국한문 혼용 신문자료 활용을 위한 텍스트 처리(text processing) 자동화 방식의 고안과 추가적인 과제
- 지능 자동화 시대,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
- 융합시대 역사 교양교육
- Model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Global Competence: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College EFL Learners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