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면 및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발표실습 및 동료피드백 양상 비교 분석
이용수 41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Speech Practice and Peer Feedback Aspect According to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ourse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화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5호, 141~16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말하기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면 발표와 비대면 발표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교육은 대학 교육의 한 양상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학습자들의 발표 수행 또한 대면과 비대면이라는 전혀 다른 맥락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에 맥락이의사소통 방식과 인식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대면 및 비대면 발표 상황에서 발표 수행과 동료피드백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말하기 교과목 참여자총 60명을 대상으로 대면 발표 자료와 비대면 발표 자료를 수집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면 발표와 비대면 발표 수행 시 발표자들이 사용한 언어표현적 요소, 음성적 요소, 시각적 요소등에 세부적인 차이가 있었다. 또한 동료피드백에서도 논평형 피드백의 비중과 발표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기준 등이 수업 방식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 토대로 대면 발표와 비대면 발표 시 차별화된 교육 전략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비대면 발표 교육을 위해 학습실재감을 높이고, 발표문 활용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face-to-face and non face-to-face presentations centered on the case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peaking classes. Since COVID-19, non face-to-face education has become a form of university education, and learners' presentations have been made in a completely different context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made in face-to-face or non face-to-face classes. Therefore, based on the previous study showing that the context can affect communication methods and perceptions, the presentation and the peer feedback pattern in the face-to-face and non face-to-face situations were examined. To this end, the face-to-face presentations of 60 participants enrolled in speaking courses were collected, to which their non face-to-face presentations were compared. As a result, in terms of presentation, the language expressions, voice elements, and visual elements in their face-to-face presentations and non face-to -face presentations showed different aspects. In addition, peer feedback also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class methods, such as evaluating the proportion and the adequacy of the present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learned that we need a differentiated educational strategy for face-to-face presentations and non face-to-face presentations. We also discussed how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realism of learning and to use presentations to achieve this goal.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 대학 인성교육으로서의 ‘사회원예’의 목표와 실제
- 대학 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대학 교양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활용 사례 연구
- 대학생의 공감교육을 위한 포토보이스 방법 활용 사례 연구
- 비대면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과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내 커뮤니티 매핑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장소감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에서 학습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대면 및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발표실습 및 동료피드백 양상 비교 분석
- K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역량분석 사례
- 교양필수 기초코딩 교과목에서의 ChatGPT 활용에 대한 교육 효과 연구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교양강좌의 설계와 실천 연구
- 교양교육에서의 근대 국한문 혼용 신문자료 활용을 위한 텍스트 처리(text processing) 자동화 방식의 고안과 추가적인 과제
- 지능 자동화 시대,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
- 융합시대 역사 교양교육
- Model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Global Competence: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College EFL Learners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