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이용수 163
- 영문명
-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장나영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5호, 93~11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정보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역량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그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고려해야 할 요인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지방 중소규모 K 대학의 학부교육실태조사(K-NSSE)에 참여한 292명의 설문 응답을 사용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각 하위요인별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상이했으나 대체적으로 학생의 성별, 교수-학생 상호작용, 직원과의 관계 만족도, 전공, 자기효능감,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학습 경험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과목 설계와 교육환경 구축을 위해 고려할 사항들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Digital literacy i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living in a digital information society.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digital literacy of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urvey responses from 292 participants in the 2022 K-NSSE at K university. The analysis revealed that while the variables influencing each sub-factor varied, the following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s: gender, student-faculty interaction,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s with staff, major field of stud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tive learning experie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a curriculum and the cre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s to foster digital literacy.
목차
1. 서론
2.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신입생을 위한 학생참여 중심의 발달적 학사지도 세미나 운영 효과 연구
- 대학 인성교육으로서의 ‘사회원예’의 목표와 실제
- 대학 교양 강좌에서 만학도의 자기주도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코로나 시기 온라인 교양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대학 교양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활용 사례 연구
- 대학생의 공감교육을 위한 포토보이스 방법 활용 사례 연구
- 비대면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과 리더십 역량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내 커뮤니티 매핑이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 장소감에 미치는 영향
- 교양교육에서 학습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아탄력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대면 및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른 발표실습 및 동료피드백 양상 비교 분석
- K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역량분석 사례
- 교양필수 기초코딩 교과목에서의 ChatGPT 활용에 대한 교육 효과 연구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교양강좌의 설계와 실천 연구
- 교양교육에서의 근대 국한문 혼용 신문자료 활용을 위한 텍스트 처리(text processing) 자동화 방식의 고안과 추가적인 과제
- 지능 자동화 시대, 탈-노동의 의미와 교양교육의 가치
- 융합시대 역사 교양교육
- Modeling a Community of Practice for Global Competence: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College EFL Learners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5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