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마이닝과 CONCOR 분석을 통한 정신건강복지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254
- 영문명
- Analysis of academ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mental health welfare through text mining and CONCOR analysis: Comparison before and after COVID-19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이솔지 윤기혁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4호, 337~3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건강복지 동향 연구를 파악하기 위해 ‘정신건강복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정신건강복지법 전면개정 논의가 시작된 2016년부터 전면 개정 이후 2022년 까지 게재된 국내 전문학술지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신건강복지와 관련된 연구의 나아갈 방향과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자료는 정신건강복지법 전면 개정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 진 시점인 2016년부터 2022년까지 7년간 국내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정신건강복지 관련 학술논문 총 866 편의 제목, 주제어, 초록을 텍스트로 전환하고, 분석 시기는 정신건강복지와 관련한 주요 이슈 변화가 컸던 코로나-19 팬더믹 시기를 기준으로 2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논문의 패턴 및 전체 데이터 속에 의미를 파악하였다. 특히, 정신건강복지법 전면 개정 논의가 시작된 시점부터 코로나-19 팬더믹 시기를 기준으로 2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는데 이는 실제 코로나-19 팬더믹은 지난 몇 년간 전 세계적인 이슈로 모든 학문 영역에 끼친 영향이 컸던 독특한 이슈였고 이에 정신건강복지 영역에서도 관련한 주요 쟁점 변화가 컸으리라 사료되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 주요 키워드 분석 결과, 정신건강복지법의 전면 개정과 코로나-19시기를 기점으로 구간별 관련 상황 변화에 따른 일부 키워드들의 상위 빈도 출현이 있긴 하였으나 대체적으로는 우울, 불안, 정신건강, 사회적 지지, 정신장애인,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법 관련 법의 개정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정책 자료 연구 일변도의 다소 일반적인 정신건강복지 관련 연구들이 수행되어 졌음을 볼 수 있다. 둘째, 구간별 TF-IDF 분석 결과, 구간별 상위 30위에 공통적으로 출현한 TF-IDF와 구간별 단독으로 출현한 TF-IDF가 빈도 분석 결과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단, TF-IDF 값에서만 출현한 1구간 키워드인 소진, 학대, 낙인, 폭력 등은 기존의 정신건강복지에서 관련 연구들이 당사자 위주의 연구들로 수행되었다면, 해당 기간내에서는 종사자들의 인권이나, 소진, 종사자들의 삶의 만족도 등에 대한 관점으로 연구 시각이 확대되었음을 눈여겨 볼 수 있다. 이는 정신건강복지법의 전면개정과 관련한 주요 이슈로 인권이나 자유권 등에 대한 개념이 반영된 결과로 생각된다. 셋째, 구간별 N-gram(2-gram) 분석 결과, 구간별로 정신건강복지법 전면개정 전후 법이나 정책의 개선에 대한 연구, 아동 및 청소년 정신건강 이슈, 코로나-19 관련 연구들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넷째, 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altion(CONCOR) 분석 결과, 1구간과 2구간 모두 4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두 구간 모두에서 활발하게 진행 된 연구 주제는 정신건강복지에 대한 개인과 집단에 관한 미시적인 측면의 일반적 정신건강복지 연구들과 가족, 지역사회 정신건강, 당사자 및 종사자들의 인식 및 인권 등에 관한 중시적 측면의 정신건강복지 연구, 그리고 정신건강복지법에 대한 이슈들이 공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신건강복지 학술 연구를 위한 여러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16 to 2022 after the full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focusing on the keyword “mental health welfare” to understand mental health welfare trends.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present basic data to promote the direction and activation of research related to mental health welfare. The analysis data were A total of 866 academic papers on mental health welfare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or seven years from 2016 to 2022, when discussions on the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began in earnest, were converted of titles, keywords, abstracts from these papers into text. The analysis period was divided into two sections based on the COVID-19 pandemic period, when major issues related to mental health welfare were greatly changed, and the meaning was identified in the pattern and overall data of the paper. In particular, from the beginning of the discussion on the full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wo sections based on the COVID-19 pandemic period. The reason is that the COVID-19 pandemic has been a global issue over the past few years and has had a great impact on all academic fields, and it is expected that major changes in related issues have occurred in the mental health welfare secto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word frequency analysis, which is the top major keyword, there was and the emergence of the top frequency of related research keywords due to changes in the situation by section from a complete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to the COVID-19 period, although. But nevertheless, mental health, depression, anxiety, suicide, specific mental diseases, family, social welfare services, program effectiveness, and policy research related to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were generally carried out regardless of the section. Second, when comparing and analyzing TF-IDF keywords by section, it can be seen that TF-IDF keywords commonly appearing in the top 30 by section or TF-IDF keywords appearing alone by section are almost similar to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s of words. However, if related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in the existing mental health welfare, such as burnout, abuse, stigma, and violence, which appeared only in the TF-IDF value, the perspective of the study was expanded from the perspective of a worker in the mental health care sector' human rights, burnout, and workers' life satisfaction. This is a major issue related to the full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and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concept of human rights and freedom rights.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connection-centered keywords by section, it can be represented that studies on mental health issu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OVID-19-related studies, and improvement of laws or policies before and after the full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were conducted. Fourth, as a result of 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altion(CONCOR), there were four clusters in both sections 1 and 2, and as a result, the most active research topics in both periods are as follows. In other words, there are studies that a microscopic general mental health welfare issues centered on individuals and groups studies and more mesotic mental health welfare on centered about family issues, policy, community mental health, people's perceptions and human rights, and then issues on mental health welfare law have been conducted in common. Finally,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rends in academic research on mental health welfare were examined, and various suggestions were presented of future academic research on mental healt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령근로자의 만성질환과 건설현장 휴먼에러와의 상관성 연구
- 텍스트 마이닝과 CONCOR 분석을 통한 정신건강복지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보호관찰 청소년 재범방지를 위한 증거기반원칙과 지역사회 역할에 관한 소고
- 건설현장의 불안전상태·행동이 사고재해율의 빈도·강도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안전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
- 코로나19 엔데믹시대의 항공여행 위험지각이 태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에서의 감염병 확산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
- 성인의 생애주기별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요인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증진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안전리더십이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도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기술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과 감성지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의 소방 및 범죄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 아차사고를 통한 위험성(R)과 시간(t)의 특성곡선 유도와 분석에 대한 연구
- 재한중국인의 범죄 안전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연구동향 분석
- RTO 사고 예방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안전 서비스 플랫폼
- 냉동창고 건설공사 화재예방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