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안전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
이용수 23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using drone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이창남 박종용 설승환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4호, 93~10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건설업계에서는 지속적인 사고로 인한 사망자와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혁신적인 안전 조치의 도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기술의 발전을 반영하지 않는 수동적인 관리시스템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스마트 건설기술의 잠재력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이러한 혁신을 기존의 안전 관리프로토콜에 통합하려는 노력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초기 검토에서 국내의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 및 도입이 뒤떨어지고 있으며, 개선 및 세밀화가 필요한 여러 영역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전 과제에 대응하여, 스마트 건설 안전 융합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 기술은 국내외 스마트안전기술을 철저히 분석하여 구상되었다. 이 기술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현장 활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자 및 기타 인원의 안전을 확보하는 능력이다.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IoT 장치와 AI 기반 모니터링 분석시스템을 활용하여 능동적인 안전예방조치를 제공할 수 있다. 건설 작업자가 위험한 지역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긴박한 상황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노력의 중심에는 효율적인 Data Flow 메커니즘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드론, 중앙관제시스템, 그리고 기술 자체를 통합하여 원활한 통신 및 데이터 교환을 보장하기 위한 작업이 이루어졌다. 광명-시흥 건설현장에서 플랫폼의 실용성과 효과성을 테스트하였고, 그 결과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안전 플랫폼 기술이 실제 환경에서의 견고성과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앞으로 본연구를 통하여 스마트 건설안전기술을 더욱 세밀화하는 데 전념할 것이다. 실제 건설현장에서의 피드백을 수집하고 시스템에 통합하여,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안전플랫폼 기술이 업계 표준의 최전선에 머무르고 건설현장에서 무재해로 나아가 많은 생명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introduction of innovative safety measures is urgently required in the current trend of increasing deaths and economic losses due to continuous thinking. One of the major causes of this trend is that it relies on passive management systems that do not reflec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recognition of the potential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this study has begun to integrate these innovations into existing safety management protocols. However, the initial review h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in Korea are behind, and there are several areas where improvement and refinement are needed.
In response to these challenges, we developed smart construction safety platform technology. This platform technology is designed to thoroughly analyze domestic and overseas smart safety technologies. One of the major features of this technology is the ability to monitor field activities in real-time to secure administrators and other personnel safety. Using smart IoT devices using drones and AI-based monitoring analytics systems, active measures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o preventing construction workers from entering dangerous areas, they can quickly detect and respond to urgent situations.
At the heart of this effort is to design efficient data flow mechanisms. Work has been done to ensure seamless communication and data exchange by integrating drones, central control systems, and platform technology itself. We tested the practicality and effectiveness of platforms at the construction site of Gwangmyeong-shiheung, and as a result, smart construction safety platform technology using drone proved robustness and reliability in the real environment.
We will concentrate on further refinement of platform technology through this study. By collecting feedback from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and integrating it into the system, it is estimated that smart safety construction platform technology using drones will stay at the forefront of the industry standard and can protect many lives from the construction sit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 현장 검증 사례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령근로자의 만성질환과 건설현장 휴먼에러와의 상관성 연구
- 텍스트 마이닝과 CONCOR 분석을 통한 정신건강복지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보호관찰 청소년 재범방지를 위한 증거기반원칙과 지역사회 역할에 관한 소고
- 건설현장의 불안전상태·행동이 사고재해율의 빈도·강도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안전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
- 코로나19 엔데믹시대의 항공여행 위험지각이 태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에서의 감염병 확산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
- 성인의 생애주기별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요인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증진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안전리더십이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도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기술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과 감성지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의 소방 및 범죄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 아차사고를 통한 위험성(R)과 시간(t)의 특성곡선 유도와 분석에 대한 연구
- 재한중국인의 범죄 안전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연구동향 분석
- RTO 사고 예방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안전 서비스 플랫폼
- 냉동창고 건설공사 화재예방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