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령근로자의 만성질환과 건설현장 휴먼에러와의 상관성 연구
이용수 7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ronic diseases of the elderly and human error in construction sit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ifestyle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김홍섭 박종용 홍하나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4호, 57~7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고령자근로자가 날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고령근로자에 의한 재해도 증가하여 2022년 발생 재해의 약 49%와 사망재해자의 약 63.6%가 고령근로자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고령근로자의 재해를 줄이고자 건설현장 고령근로자의 휴먼에러가 근로자 개인의 건강과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우리나라 인구의 약 40% 이상이 경험하고 있으며 65세 이상 노인층의 약 80%가 하나 이상 앓고 있는 만성질환과는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를 연구하여 건설현장에서 고령근로자의 재해를 저감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건설업에 종사하는 고령 근로자의 만성질환이 건설현장의 휴먼에러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습관의 매개효과에 대한 인과관계를 실증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전국에 있는 12개소의 건설현장에서 근로자 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 26부를 제외하고 260부를 대상으로 R언어를 이용한 자모비 2.3.28버전을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습관 1요인인 ma1(음주횟수) 및 ma2(음주량)와 ma7(흡연)은 독립 변수인 만성질환이 종속변수인 휴먼에러에 영향을 미칠 때 직접적인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생활습관 2요인인 ma3(수면장애)과 ma4(스트레스)는 독립변수인 만성질환이 종속변수인 휴먼에러에 영향을 미칠 때 직접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설현장에서 고령근로자의 만성질환이 휴먼에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으며, 특히 고령 근로자의 수면장애 및 스트레스가 휴먼에러에 양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바, 지금까지의 휴먼에러 저감을 위한 작업장 내에서의 각종 대책에 추가하여 고령근로자의 수면의 질 향상과 스트레스 저감방안 등 근로자의 건강관리에도 관심을 경주하여 건설현장에서의 휴먼에러 저감에 기여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In Korea, the number of elderly workers is increasing du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disasters caused by elderly workers are also increasing, resulting in about 49% of disasters and 63.6% of deaths in 2022. In order to reduce these elderly workers' disasters, we would like to study how human errors of elderly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are related to the individual health of workers. In particular, we would like to contribute to reducing disasters for elderly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diseases that more than 40% of the Korean population experiences and about 80% of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suffer from one or mor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study the effect of chronic diseases on human error at construction site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mediated effects of elderly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statistically verify this, 286 workers were surveyed at 12 construction sites across the country. Among the collected data, 260 copies, excluding 26 unfaithful answers, were regression analyzed using version 2.3.28 of the self-hair ratio using R langu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first factor of lifestyle, ma1 (the number of drinking), ma2 (the amount of drinking), and ma7 (smoking), have no direct mediating effect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 chronic disease, affects the dependent variable, human erro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ma3 (sleep disorder) and ma4 (stress), two factors of lifestyle, have a direct mediating effect when chronic diseases,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 human errors,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It has been verified that chronic diseases of elderly worke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uman errors at construction sites, and in particular, sleep disorders and stress of elderly workers have been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human errors. Thus, in addition to various measures in the workplace to reduce human errors so fa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contribute to reducing human errors in construction sites by paying attention to workers' health care measures such as improving the quality of sleep for elderly workers and stress reduction measur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연구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령근로자의 만성질환과 건설현장 휴먼에러와의 상관성 연구
- 텍스트 마이닝과 CONCOR 분석을 통한 정신건강복지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보호관찰 청소년 재범방지를 위한 증거기반원칙과 지역사회 역할에 관한 소고
- 건설현장의 불안전상태·행동이 사고재해율의 빈도·강도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안전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
- 코로나19 엔데믹시대의 항공여행 위험지각이 태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에서의 감염병 확산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
- 성인의 생애주기별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요인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증진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안전리더십이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도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기술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과 감성지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의 소방 및 범죄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 아차사고를 통한 위험성(R)과 시간(t)의 특성곡선 유도와 분석에 대한 연구
- 재한중국인의 범죄 안전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연구동향 분석
- RTO 사고 예방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안전 서비스 플랫폼
- 냉동창고 건설공사 화재예방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