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증진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3

영문명
A study on the promotion of mobility rights and safety management of the visually impaired: Focusing on railroad facilitie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임재연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24호, 187~20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증진과 안전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는 장애인에 관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지만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과 안전 확보 요구는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장애인 안전사고도 수시로 발생하고 있어 시각장애인이 보다 편리하게 이동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 방법은, 철도시설의 시각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기준과 운영에 관한 법령 및 관련된 문헌조사를 통하여 장애인시설의 설치 적합성을 분석하고, 선행연구 조사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일반철도와 도시철도의 연결지점에서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 실태를 시각장애인의 관점에서 직접 조사하고 관계자 인터뷰를 반영하여 장애인 편의시설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편의시설은 관련 법규와 설계 지침 등에 따라 대부분 적절하게 설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은 일부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일반철도와 도시철도의 환승 지점에 점자 블록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끊어져 있었고, 둘째, 시각장애인을 안내하는 점자안내도가 이동 동선과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셋째, 시각장애인이 반대 방향으로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의 법적 설치기준이 없어서 시각장애인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열차를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이 승차할 열차를 찾기가 어렵고 승차 후 지정된 좌석을 찾는 데 어려움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점자 블록의 단절 구간을 해소하고, 점자안내도는 이동 동선의 적절한 공간에 배치해야 하며, 음성유도기의 확대 설치와 함께 철저한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역방향 진입 방지 경고음 설치를 법적으로 의무화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의 정비가 필요하며, 시각장애인이 열차를 이용할 때 승차 열차와 지정 좌석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비콘(Beacon)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설비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improve the mobility rights and safety of the visually impaired. Although various policies regarding the disabled are being implemented in Korea, demands for guaranteeing the right to movement and ensuring safety for the disabled are constantly being raised. In addition, safety accidents for the visually impaired occur frequently, so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improvement measures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move more conveniently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The study analyzed the suitability of install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rough a survey of laws and literature related to the standards of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railway facilities. In addition, implications were derived through prior research. Furthermore, we directly investigated the install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t the connection points between conventional railways and urban railway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isually impaired. In addition, by reflecting on the interviews with those involved, problem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oper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most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ere installed appropriately by relevant laws and design guidelines. However, it was found that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require some improvement. First, Braille blocks were not installed or broken at transfer points between conventional and urban railways. Second, Braille guide maps to guide visually impaired people were installed far away from the movement route. Third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no legal standard for installing a device that prevents visually impaired people from entering the escalator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ch could pose a threat to the safety of the visually impaired. Lastly, it was analyzed that it was difficult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to find a train to board and that they had great difficulty finding their designated seat after boarding. To improve these problems, it was analyzed that disconnected sections of Braille blocks should be resolved, Braille guidance maps should be placed in appropriate spaces along the movement route, installation of voice guidance devices should be increased, and these facilities should be carefully maintain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nact related laws to legally mandate the installation of warning sounds to prevent reverse escalator entry and to install new beacons o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facilities so that visually impaired people can easily find their trains and designated seats when using trai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실증분석 및 문제 인식
Ⅳ. 개선방안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재연. (2023).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증진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 187-203

MLA

임재연.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증진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2023): 187-2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