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
이용수 143
-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Drug Adherence in Type 2 Diabetic Patient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길은하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4호, 263~27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당뇨병은 인구의 고령화와 더불어 비만, 불규칙한 식이 및 신체활동 저하 등의 생활식습관의 변화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욱이 당뇨병은 완치가 어렵고 합병증 발생과 사망률이 높아 정상 혈당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의 처방에 따른 약물 순응도를 높이는 게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효과적인 약물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8년 한국의료패널 데이터(β-version 1.0)를 활용하였으며, 이들 중 제 2형 당뇨병 진단 후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1,0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종속변수는 약물 순응도 유무이며, 독립변수는 인구학적, 신체·사회적 특성과 약물 복용 특성을 포함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2.0을 이용하여 Chi-Square, Logistic Regression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는 95.3%로 나타났으며,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은 인구학적 특성요인에서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가 없는 군에 비해 약물 순응도가 1.97(95% CI=1.06~3.67)배 높았으며, 신체·사회적 특성요인에서는 의사결정 장애가 없는 그룹이 의사결정 장애가 있는 대상자의 약물 순응도 비차비가 2.25(95% CI=1.16~4.24)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약물복용 특성요인에서는 약물 부작용 발생 그룹에 비해 발생하지 않은 그룹에서 약물 순응도가 4.44(95% CI=2.34~8.45)배 높았으며, 약물에 대해 만족하는 그룹에서 보통/ 불만족 군의 약물 순응도 비차비가 17.70(95% CI=5.72~54.7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배우자가 없고 의사결정 장애가 있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약물 복용의 중요성 및 복용방법 등의 교육과 중재 뿐 아니라 약물의 부작용 발생에 따른 즉각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보건의료진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대상자의 약물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영문 초록
Diabetes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changes in lifestyle habits such as obesity, irregular diet, and decreased physical activity along with the aging population. Moreover, diabetes is difficult to cure and has a high incidence of complications and mortality, so it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the drug adherence to maintain normal blood sugar. therefore,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and descriptive survay conducted to identify factor affecting drug adherenc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his study used the Korea Medical Panel data (β-version 1.0) in 2018, and among them, 1,069 people who were taking drugs after diagnosis of type 2 diabete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study w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rug adherenc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included demographic, phys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drug use characteristic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hi-Square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wWin 22.0. The study result that 95.3%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had a 1.97 (95% CI=1.06~3.67) times higher drug adherence factors than those without spouses of demographic factors. As for the phys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factors, the group without decision-making disabilities had a drug adherence ratio of 2.25 (95% CI=1.16~4.24) for those with decision-making disabilities. Finally, compared to the group that did not occur in the drug side effects of drug use characteristics, the group satisfied with the drug was 4.44 times higher (95% CI=2.34-8.45) and the drug adherence ratio of the moderate/ unsatisfied subjects was 17.70 (95% CI=5.72-54.76).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drug adherence in type 2 diabetes patien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drug satisfaction through active intervention by health and medical staff through immediate monitoring of drug side effects, as well as education and interven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령근로자의 만성질환과 건설현장 휴먼에러와의 상관성 연구
- 텍스트 마이닝과 CONCOR 분석을 통한 정신건강복지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보호관찰 청소년 재범방지를 위한 증거기반원칙과 지역사회 역할에 관한 소고
- 건설현장의 불안전상태·행동이 사고재해율의 빈도·강도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안전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
- 코로나19 엔데믹시대의 항공여행 위험지각이 태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에서의 감염병 확산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
- 성인의 생애주기별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요인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증진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안전리더십이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도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기술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과 감성지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의 소방 및 범죄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 아차사고를 통한 위험성(R)과 시간(t)의 특성곡선 유도와 분석에 대한 연구
- 재한중국인의 범죄 안전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연구동향 분석
- RTO 사고 예방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안전 서비스 플랫폼
- 냉동창고 건설공사 화재예방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