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차사고를 통한 위험성(R)과 시간(t)의 특성곡선 유도와 분석에 대한 연구
이용수 3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curve derivation and analysis of Risk(R) and Time(t) through the near miss accident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김재현 김승호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4호, 205~2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차사고에 대한 위험성(R)과 시간(t)의 상관관계를 문헌 고찰을 통해 곡선으로 표현하고 이를 수학적 함수로 유도하여 사고로 인한 피해를 낮추기 위한 핵심 요소를 찾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아차사고에 대해 핵심 요소를 기반으로 조사하고 이를 학습 자료로 활용하여 작업자가 강화된 개인의 역량으로 사고의 피해를 낮추기 위함이다. 그리고 시간(t)에 따른 위험성(R)의 변화에 대한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진행 방법은 첫째 문헌 고찰에 따른 위험성(R)과 시간(t)의 곡선으로 표현하고, 둘째 문헌 고찰에서 거론되는 예견→감시→대응의 단계를 해당 곡선에서 구분한다. 셋째 모의실험을 통해 각 단계의 진행 소요 시간을 검토하고, 넷째 해당 곡선과 유사한 곡선을 갖는 함수를 유도한다. 다섯째 함수를 통한 R-t 특성곡선 분석 및 핵심 요소를 검토한다. 여기서, 모의실험의 의미는 이론적으로 얻어진 곡선에서 예견→감시→대응의 단계로 진행되는 사고의 단계를 구분하고 단계별 시간 소요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위험성 함수(R(t))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위험성 크기 자체를 줄이는 사전 예방 활동의 방법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위험성 평가를 통해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둘째, 위험성 최대 크기에 도달하는 소요 시간(Δt1)을 줄여 사고에 대응하는 방법이다. 이는 회복탄력성 이론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 찾고자 하는 핵심 요소이며, 사고 진행 과정에 대한 소요 시간(Δt1)을 명시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함수 , ( 0 < t ≤ c )를 통해서 a의 크기를 줄이는 사고 예방활동 만큼이나 b의 크기를 키우는 개인의 역량 강화 즉, 사고 직후의 판단 능력 향상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고로 인한 피해를 낮추기 위한 개인의 역량 강화 방안은 아차사고 조사에서 소요 시간(Δt1)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고 이를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는 개개인의 사고에 대한 인식과 판단에 대한 현실적인 도움을 제공하게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key factors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accidents by expressing the correlation between risk (R) and time (t) for near-miss accidents as a curv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ucing it as a mathematical function. In other words, it is to investigate various near-miss accidents that occur in industrial sites based on key factors and use them as learning materials to reduce the damage of accidents with the strengthened individual capabilities of workers. In addition, a simul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crease the realism of the change in risk (R) according to time (t).
The proceeding method is first expressed as a curve of risk (R) and time (t)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 and second, the stages of prediction → monitoring → response discussed in literature review are distinguished from the corresponding curve. Third, the time required for each step is reviewed through simulation, and fourth, a function with a curve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curve is derived. Fifth, analyze the R-t characteristic curve through the function and review the key elements. Here, the meaning of the simulation experiment is to distinguish the stages of thinking from the theoretically obtained curve to the stages of prediction→monitoring→response, an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time required for each stage.
The result obtained through the risk function (R(t)) is, First, it is a method of preventive activities that reduce the size of the risk itself. Currently, in Korea, efforts are being strengthened to prevent accidents through risk assessment. Second, it is a method of responding to an accident 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Δt1) to reach the maximum risk. This is a key element to be found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ilience theory, an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can be enhanced by specifying the time required (Δt1) for the accident proce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a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individual's ability to increase the size of b, that is, to improve judgment immediately after an accident, as much as to prevent accidents by reducing the size of a through function , ( 0 < t ≤ c ). Therefore, the way to strengthen individual capacity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an accident is to add information on the time required (Δt1) in the near-miss investigation and use it as an educational material. This provides realistic help for recognition and judgment of individual thinking.
목차
Ⅰ. 서 론
Ⅱ. 위험성 함수의 유도
Ⅲ. 위험성 함수
Ⅳ. 결 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령근로자의 만성질환과 건설현장 휴먼에러와의 상관성 연구
- 텍스트 마이닝과 CONCOR 분석을 통한 정신건강복지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보호관찰 청소년 재범방지를 위한 증거기반원칙과 지역사회 역할에 관한 소고
- 건설현장의 불안전상태·행동이 사고재해율의 빈도·강도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안전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
- 코로나19 엔데믹시대의 항공여행 위험지각이 태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에서의 감염병 확산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
- 성인의 생애주기별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요인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증진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안전리더십이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도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기술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과 감성지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의 소방 및 범죄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 아차사고를 통한 위험성(R)과 시간(t)의 특성곡선 유도와 분석에 대한 연구
- 재한중국인의 범죄 안전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연구동향 분석
- RTO 사고 예방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안전 서비스 플랫폼
- 냉동창고 건설공사 화재예방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