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이용수 148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최지연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4호, 31~4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본격적인 전공프로그램에 진입하는 학생들에게 안전한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시와 G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의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00명이었다. 자료 수집기간은 2022년 03월 10일부터 03월 30일까지이며,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로 이루어졌다.
연구모형은 Hayes(2013)가 제안한 PROCESS Macro Model 4를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4.0, PROCESS Macro ver. 3.5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적응, 사회적 지지는 각 평균 3.98, 3.45, 4.00점(5점 만점)이었다.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사회적 지지는 서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는 전공을 본인이 선택한 경우(t=3.41, p=.001), 전공선택 동기가 적성에 맞는 경우(F=5.73, p=.004), 대학생활 만족도(F=14.01, p<.001)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전공만족도는 대학생활 적응(β=.574)과 사회적 지지(β=.625)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β=.241).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 사이에는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있었다(β=.619).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를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하부요인을 확인하여 간호교육에서 정서적, 평가적, 정보적, 물리적인 구체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연구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sophomore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located in D and G cities.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March 10, 2022 to March 30, 2022, and was condu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PROCESS Macro Model 4 proposed by Hayes (2013).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4.0, PROCESS Macro ver. 3.5 program.
The mean score for major satisfaction, colleg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were 3.98, 3.45, and 4.00 points out of 5, respectively. Major satisfaction, colleg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had strong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p<.001). The difference in adaptation to college life is when the major is chosen by oneself (t=3.41, p=.001), when the motive for selecting a major matches one's aptitude (F=5.73, p=.004), and when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F=14.01, p<.001) was significantly high. To confirm the effects on social support, the covariate was adjusted for major selector, aptitude in major selection motive,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had a direct effect on college adjustment (β = .574) and social support (β = .625).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college adjustment (β = .241). There was a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justment (β = .619).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ffects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using social support as a mediating variable. Therefore, by identifyi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who will become future nurses, we propose the development of specific emotional, evaluative, informational, and physical intervention programs in nursing education and research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령근로자의 만성질환과 건설현장 휴먼에러와의 상관성 연구
- 텍스트 마이닝과 CONCOR 분석을 통한 정신건강복지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보호관찰 청소년 재범방지를 위한 증거기반원칙과 지역사회 역할에 관한 소고
- 건설현장의 불안전상태·행동이 사고재해율의 빈도·강도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안전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
- 코로나19 엔데믹시대의 항공여행 위험지각이 태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에서의 감염병 확산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
- 성인의 생애주기별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요인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증진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안전리더십이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도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기술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과 감성지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의 소방 및 범죄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 아차사고를 통한 위험성(R)과 시간(t)의 특성곡선 유도와 분석에 대한 연구
- 재한중국인의 범죄 안전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연구동향 분석
- RTO 사고 예방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안전 서비스 플랫폼
- 냉동창고 건설공사 화재예방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