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이경임 노지영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4호, 17~2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사성향, 감성지능, 대인관계능력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고,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자는 J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186명의 학생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9월 12일부터 9월 30일까지였으며,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사용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사성향, 감성지능, 대인관계 능력의 차이는 t-test, ANOVA를 이용하였으며, Scheffe' test로 사후 검증하였다. 감사성향, 감성지능, 대인관계능력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감사성향은 7점 만점에 5.52점, 감성지능은 5점 만점에 3.73점, 대인관계능력은 5점 만점에 3.86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은 주관적 건강상태(F=3.743 p=.026)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대인관계능력은 감사성향(r=.470, p<.001), 감성지능(r=.575,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성지능(β=.440, p<.001), 감사성향(β=.287, p<.001), 주관적 건강상태가 불건강(β=-.135, p=.025)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0.0%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사성향, 감성지능을 강화시키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and relation of gratitude disposi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e research method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the research subjects are 186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a college located in J c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12 to September 30, 2022,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report onlin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ere us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differences in gratitude disposi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tested using t-test and ANOVA, and post-tested with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perform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for factors affecting interpersonal abi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gratitude disposition was 5.52 points out of 7 points, emotional intelligence was 3.73 points out of 5 poin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as 3.86 points out of 5 poi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difference in subjective health status (F=3.743 p=.026),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howed gratitude disposition (r=.470, p<.001), emotional intelligence (r=. 575, p<.001)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 factors affec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ere emotional intelligence (β=.440, p<.001), gratitude disposition (β=.287, p<.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unhealthy (β=-.135, p =.025),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0.0%.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hat strengthen gratitude dispos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order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nursing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령근로자의 만성질환과 건설현장 휴먼에러와의 상관성 연구
- 텍스트 마이닝과 CONCOR 분석을 통한 정신건강복지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보호관찰 청소년 재범방지를 위한 증거기반원칙과 지역사회 역할에 관한 소고
- 건설현장의 불안전상태·행동이 사고재해율의 빈도·강도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안전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
- 코로나19 엔데믹시대의 항공여행 위험지각이 태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에서의 감염병 확산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
- 성인의 생애주기별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요인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증진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안전리더십이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도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기술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과 감성지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의 소방 및 범죄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 아차사고를 통한 위험성(R)과 시간(t)의 특성곡선 유도와 분석에 대한 연구
- 재한중국인의 범죄 안전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연구동향 분석
- RTO 사고 예방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안전 서비스 플랫폼
- 냉동창고 건설공사 화재예방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