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엔데믹시대의 항공여행 위험지각이 태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이용수 128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Air Travel Risk Perceptions on Attitude and Conversion Intention in the Era of the COVID-19 Endemic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문희정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4호, 323~33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의 엔데믹 상황에서 항공여행객들이 인식하는 위험요인과 태도 및 전환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전환 의도의 연령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로는 첫째, 위험요인은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태도는 전환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연령에 따라 전환의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해서 위험요인을 4가지 즉, 코로나19 관련 위험, 심리적 위험, 재무적 위험, 기능성과적 위험으로 구분하고 태도와 전환의도는 단일변수로 구성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항공여행을 계획하는 여행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223개의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빈도분석,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위험요인은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은 모두 채택되었다. 항공여행객들이 지각하는 위험지각요인 중 코로나19의 위험이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 관련 위험요인, 심리적 위험요인, 재무적 위험요인, 기능성과적 위험요인 모두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태도는 전환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와 연령에 따라 전환의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3 모두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코로나19 엔데믹 상황에서 항공여행객들의 위험요소를 확인하고, 위험요소별 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태도가 전환의도의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환의도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위험지각요소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기에 코로나19 엔데믹 상황에서의 항공여행 시 인식하는 위험요소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항공여행업계의 회복을 위한 방안에 실무적 자료와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attitudes perceived by air travelers in the endemic situation of COVID-19, a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conversion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ge-specific difference in conversion intention. As for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first, risk factors will have a negative (-) effect on attitude. Second, attitude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conversion intention. Third, it was set that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conversion intention according to age.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prior studies classified the risk factors into four categories: COVID-19-related risk, psychological risk, financial risk, and functional performance risk, and attitude and conversion intention were configured as a single variable. To test the hypothesi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ravelers planning air travel, and 223 data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questionnaires with error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hypothesis 1 that risk factors have a negative (-) effect on attitudes was all accepted. Among the risk perception factors perceived by air travelers, the risk of COVID-19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nd the risk factors related to COVID-19, psychological risk factors, financial risk factors, and functional performance risk factors all showed a negative (-) attitude to attitude. proven to have an effect. Both Hypothesis 2, which states that attitude has a positive (+) effect on conversion intention, and Hypothesis 3, which state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conversion intention according to age, were both accept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risk factors of air travelers in the COVID-19 endemic situation, a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each risk factor on attitude and the influence of attitude on conversion intention.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conversion intention according to age. In this study, risk perception factors were analy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so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risk factors recognized during air travel in the COVID-19 endemic situation.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presenting practical data an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recovery of the air travel industry after the COVID-19 endemic.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령근로자의 만성질환과 건설현장 휴먼에러와의 상관성 연구
- 텍스트 마이닝과 CONCOR 분석을 통한 정신건강복지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보호관찰 청소년 재범방지를 위한 증거기반원칙과 지역사회 역할에 관한 소고
- 건설현장의 불안전상태·행동이 사고재해율의 빈도·강도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안전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
- 코로나19 엔데믹시대의 항공여행 위험지각이 태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에서의 감염병 확산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
- 성인의 생애주기별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요인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증진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안전리더십이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도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기술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과 감성지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의 소방 및 범죄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 아차사고를 통한 위험성(R)과 시간(t)의 특성곡선 유도와 분석에 대한 연구
- 재한중국인의 범죄 안전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연구동향 분석
- RTO 사고 예방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안전 서비스 플랫폼
- 냉동창고 건설공사 화재예방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