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에서의 감염병 확산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이용수 46
- 영문명
- A Communicable Disease Spread Model in Neighborhood-convenience Facilities within Elementary-school Commuting Zone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이선영 권지훈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4호, 307~32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호흡기 감염병인 코로나 19는 빠른 전파력을 보이며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확산이 되었다. 초등학교는 학생이 밀집된 환경으로 인해 감염병이 쉽게 전파되며 교외 시설에서 바이러스가 유입되어 추가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와 가정 주변에 위치하며 감염에 취약한 시설인 근린생활시설의 건축적 특성과 감염병 확산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초등학교 주변에서 감염병의 유입과 집단감염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방역 자원을 집중하기 위한 판단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로부터 통학거리 1,500m 내 위치한 근린생활시설이 감염병 확산에 끼치는 영향을 알고자 근린생활시설의 건축적 특성과 감염병 확산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GIS와 상관관계분석을 활용하여 감염에 취약한 건축적 특성과 공간적 범위를 도출하는 감염병 확산 분석 모델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주변 근린생활시설과 감염병 확산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연구 대상 자치구의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의 건축물 수, 건축면적, 연면적, 대지면적, 높이, 건폐율, 용적률과 감염병 확산 간의 상관관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연구 대상 자치구 별 최대값이 도출되는 공간적 범위와 상관계수 값의 변화 추이는 연구 대상 자치구별 양상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의 건축적 특성과 감염병 확산 간의 상관분석 모델을 제시하였다. 둘째, 분석 모델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의 건축적 특성과 감염병 확산의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든 변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분석 자치구 별 최대값이 도출되는 공간적 범위와 상관계수 값의 변화 추이에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모델은 자치구에서 방역 자원을 집중해야 할 건축적 특성과 공간적 범위의 선정에 대한 분석의 기초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el that analyz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convenience facilities around schools, which are vulnerable to infections, and their relevance to the spread of communicable diseases. This model aim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making decisions on concentrating sanitation resources to prevent the inflow of communicable diseases and the occurrence of group infections in the vicinity of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act of neighborhood-convenience facilities located within a 1,500m commuting distance from elementary schools on the spread of communicable diseases, this study analyze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local facilities and their relevance to the spread of communicable diseases. It proposes a communicable disease spread analysis model that utilizes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vulnerabl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scope related to infection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analysis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neighborhood-convenience facilities around elementary schools and the spread of communicable diseas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buildings, building area, total floor area, land area, height, building coverage ratio, and floor area ratio of neighborhood-convenience facilities within the Elementary-school Commuting Zone in the target administrative district. However, the spatial scope and trends of th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varied, indicating differences in patterns among the target distri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roposed a correlation analysis model betwee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convenience facilities within the commuting distance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 spread of communicable diseases. Second, the results of applying the analysis mode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variables of neighborhood-convenience facilities and the spread of communicable disease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patial scope and trends of th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the analyzed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analysis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selecting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scope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to concentrate sanitation resourc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 조건의 설계
Ⅳ.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과 감염병 확산 간 관련성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고령근로자의 만성질환과 건설현장 휴먼에러와의 상관성 연구
- 텍스트 마이닝과 CONCOR 분석을 통한 정신건강복지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보호관찰 청소년 재범방지를 위한 증거기반원칙과 지역사회 역할에 관한 소고
- 건설현장의 불안전상태·행동이 사고재해율의 빈도·강도에 미치는 영향
-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안전기술 개발 및 실증연구
- 코로나19 엔데믹시대의 항공여행 위험지각이 태도와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초등학교 통학거리 내 근린생활시설에서의 감염병 확산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
- 성인의 생애주기별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요인
-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증진 및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안전리더십이 근로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도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기술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사성향과 감성지능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의 소방 및 범죄분야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 아차사고를 통한 위험성(R)과 시간(t)의 특성곡선 유도와 분석에 대한 연구
- 재한중국인의 범죄 안전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연구동향 분석
- RTO 사고 예방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안전 서비스 플랫폼
- 냉동창고 건설공사 화재예방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