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평] 더, 좋은 이야기를 기대하는 마음에 대하여
이용수 93
- 영문명
- More about our expectations for a good story: The concerns left by the TV drama
(2022)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전명환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4호, 713~73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ENA에서 방영하였던 TV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천재적 변호사 ‘우영우’의 활약을 담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매 에피소드마다 장애로 인해 겪는 일상 속의 차별뿐 아니라 성소수자, 탈북자, 아동 등 사회 주류에 속하지 못하는 소수자나 약자들의 이야기를 조명하고 높은 시청률을 기록해 이슈가 되었다. 흥행에 성공한 만큼 작품이 지닌 아쉬움에 대한 비평도 많았다. 이 글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이 사회에 던져준 긍정적 효과만큼이나 한편으로 한발짝 더 나아가기 위해서 고민해야 할 지점들을 논의하고 있다.
1화에서 홀로 회전문을 넘어가지 못하는 우영우는 소위 ‘사회생활’이라고 말하는 회사로 진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소수자들의 모습을 상기시킨다. 그러나 작품 말미에 가서 결국 우영우는 회전문을 스스로 통과하여 ‘1인분’을 할 수 있는 개인으로 거듭난다. 이러한 서사는 아름다움을 보는 감정을 제공하는 한편 개인이 성숙하여 사회에 편입해야 한다는 일방향적 성장 서사만이 우리 사회가 만들어낼 수 있는 유일한 서사의 방식인지를 고민하게 만든다.
하지만 그것이 비단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약점이라고만 말하고 넘어길 수는 없을 것이다. 이 작품이 기존의 장애 재현 작품들과 차별화되는 지점이 분명히 존재하며, 또 이 작품을 통해 더 나은 이야기가 무엇인지를 고민할 기회가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같은 시기에 이야기가 해야 할 고민을 나름대로 풀어내고 있는 임솔아의 「초파리 돌보기」라는 소설을 함께 보면서 서사에 대한 고민을 확장하는 방법들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글을 마친다.
영문 초록
The TV drama , which aired on ENA, is a work about the performance of “Woo Young-woo,” a genius lawyer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each episode, this work became an issue by highlighting the stories of minorities or the weak who do not belong to the mainstream of society, such as sexual minorities, North Korean defectors, and children, as well as discrimination in daily life caused by disability. As it was successful, there were many criticisms of the disappointment of the work. This article discusses the points to consider in order to take a step forward as much as the positive effect of on society.
Woo Young-woo, who can’t get over the revolving door alone in the first episode, reminds us of minorities who have difficulty entering the so-called “social life.” However, at the end of the work, Woo Young-woo eventually passes through the revolving door on his own and is reborn as an individual who can do “one serving.” These narratives provide an emotion of seeing beauty, while making us wonder whether the one-way growth narrative that individuals must mature and incorporate into society is the only way of narrative that our society can create.
However, it cannot be overlooked only by saying that it is the weakness of . This is because there is a point where this work is clearly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disability reproduction works, and this work has created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what a better story is. At the same time, I finish my writing by talking about ways to expand my concerns about the narrative while watching Lim Sol-ah’s novel , which solves the concerns that the story should have.
목차
1. 상영관 출구는 늘 작은 폐허 같지만
2. 악의 없는 최선과 더 하고 싶은 말들
3. 오래된 전축의 아름다움에 정들었지만
4. 현실에는 완결이 없으므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메타 리터러시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발전과 확장성
- [서평] 플롯 유형론에 나타난 이야기 원형 찾기의 양상과 의미에 대한 소고
- 김수영 시의 리듬 연구
- 임기현의 「금강산유상일기」에 대한 연구
- 새로운 가사집 『금수강산유람기(錦繡江山遊覽記)』의 발굴과 자료적 가치
- 텍스트 난이도 측정을 위한 응집성 측정 변수 연구
- 쓰기 효능감과 쓰기 능력에 따른 초등 필자 유형 분석 연구
- 쓰기 능력 발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독자의 읽기 중 딴생각(Mind Wandering)유발 요인 분석
- 2022 국어과 교육과정 ‘독서와 작문’의 쟁점과 과제
- K-드라마를 통한 ‘Big C·Little c’ 통합 교수·학습 방안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문화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학위논문 장르 교육에서 자기중심성 극복을 위한 위키(wiki) 활동 설계 방안
-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국어 강연 어휘 분석 연구
- 국외 대학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검토
-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과 요구 분석
- 직소(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자기소개서 교육 방법 및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 모듈 운영의 의의 분석
- 웹툰에 반영된 문화 리터러시
- 인컨텍스트 러닝을 통한 ChatGPT의 시적 표현 해석 가능성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윤리에 대한 학부생 인식 연구
- 인공지능 기반 한문 번역을 위한 코퍼스 추출 및 정제 과정
-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과 리터러시 역량
- 리터러시 연구 14권 4호 목차
- [서평] 더, 좋은 이야기를 기대하는 마음에 대하여
- [서평] 한국 근대미술의 요람, 서촌의 화가와 예술가들 이야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