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 모듈 운영의 의의 분석
이용수 162
- 영문명
- Analysis of the Significance of Module Operation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Writing Courses at S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은정 차봉준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4호, 171~20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설득력 있는 사람’을 만들고, 이를 위해 비판적 사고력, 분석적 추론력을 겸비한 의사소통역량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의 글쓰기 교육은 어떠한 교육모형을 만들고, 어떻게 교육을 실행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대 이후로 지난 20여년간 전개된 국내 대학의 글쓰기 교육과정의 일반적 양상과 변화의 과정을 검토해보았고, 이를 S 대학의 글쓰기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S 대학의 글쓰기 교육이 지닌 특성을 살펴보았다.
S 대학의 글쓰기 교육은 학습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수업에 적절히 연계하고, 학습자의 쓰기 경험을 최대화할 수 있는 교육모형으로 진화, 발전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S 대학의 글쓰기 교육모형이 학습자의 동기부여 증진과 글쓰기 수업 효능감 증진에 어떻게 긍정적으로 반영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위해 ‘글쓰기의 기초-글쓰기의 과정-글쓰기의 유형’이라는 3단계로 구조화된 교육 모듈을 제안하였고, 각각의 모듈에 구성된 세부 강의주제와 학습 내용, 그리고 이와 연계된 학습활동과 과제 등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또한 수업이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성취기반 평가 기준을 활용한 평가의 사례와 학습활동 중 하나인 글쓰기 공모전의 성과 소개, 그리고 글쓰기 자기 효능감 진단 결과를 통한 수업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대학의 기초 교양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배양과 창의적 사유를 함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질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재차 확인함과 함께, 신입생 대상의 글쓰기 교육으로 적용할 만한 하나의 교육 모듈을 제안함에 의미를 둘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ddresses the issue of creating persuasive individuals who possess critical thinking skills, analytical reasoning,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bilities.
The focus is on cultivating talents with the ability to communicate persuasive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model for university writing. In order to achieve this, an examination of the general trends and changes in writing education courses at domestic universities over the past 20 years since the 2000s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se findings with the writing education curriculum at S Universit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 University’s writing education were explored.
The writing education at S University has evolved into an educational model that effectively involves learners’ voluntary participation in class and maximizes their writing experiences. To verify this, the study proposed an educational module with a three-step structure, consisting of “Foundations of Writing - Process of Writing - Types of Writing.” It analyzed how S University’s writing education model positively reflects enhancement of learners’ motivation and efficacy in writing classes. Detailed lecture topics, learning contents, related learning activities, and assignments for each module are presented as examples. Additionally, to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of how the classes are conducted, the study examined evaluation cases utilizing achievement-based assessment criteria, presented the outcomes of a writing competition as a learning activity, and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through self-efficacy diagnosis of writing skills. This study reaffirms the necessity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for cultivating communication skills and fostering creative reasoning in the foundational liberal arts curriculum of universitie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have significance as it proposes an educational module suitable for freshmen-level writing education.
목차
1. 들어가는 글
2. 국내 대학 글쓰기 교육과정의 전개와 S대학의 사례 비교
3. S대학 글쓰기 교육 모듈의 특성
4. S대학 글쓰기 교육 운영 사례와 자기 효능감 현황
5. 나오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메타 리터러시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발전과 확장성
- [서평] 플롯 유형론에 나타난 이야기 원형 찾기의 양상과 의미에 대한 소고
- 김수영 시의 리듬 연구
- 임기현의 「금강산유상일기」에 대한 연구
- 새로운 가사집 『금수강산유람기(錦繡江山遊覽記)』의 발굴과 자료적 가치
- 텍스트 난이도 측정을 위한 응집성 측정 변수 연구
- 쓰기 효능감과 쓰기 능력에 따른 초등 필자 유형 분석 연구
- 쓰기 능력 발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독자의 읽기 중 딴생각(Mind Wandering)유발 요인 분석
- 2022 국어과 교육과정 ‘독서와 작문’의 쟁점과 과제
- K-드라마를 통한 ‘Big C·Little c’ 통합 교수·학습 방안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문화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학위논문 장르 교육에서 자기중심성 극복을 위한 위키(wiki) 활동 설계 방안
-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국어 강연 어휘 분석 연구
- 국외 대학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검토
-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과 요구 분석
- 직소(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자기소개서 교육 방법 및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 모듈 운영의 의의 분석
- 웹툰에 반영된 문화 리터러시
- 인컨텍스트 러닝을 통한 ChatGPT의 시적 표현 해석 가능성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윤리에 대한 학부생 인식 연구
- 인공지능 기반 한문 번역을 위한 코퍼스 추출 및 정제 과정
-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과 리터러시 역량
- 리터러시 연구 14권 4호 목차
- [서평] 더, 좋은 이야기를 기대하는 마음에 대하여
- [서평] 한국 근대미술의 요람, 서촌의 화가와 예술가들 이야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