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문화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90
- 영문명
- Inter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for Korean Learners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Cultur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문희진 장현정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4호, 337~36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Byram의 이론적 모형과 Holzbrecher의 발견적 교수·학습 과정에 기반하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을 설계하고, 베트남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원집단 사전-사후 검사를 적용하여 문화지능 향상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로 하여금 문화 간 교호적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Byram의 ‘언어 학습’, ‘언어 인식’, ‘문화 인식’, ‘문화적 경험’, ‘의사소통 언어 교수법’, ‘민족지학적 방법’ 요소를 기반으로 3차시의 교수·학습을 설계하고, Ang et al.(2007)의 문화지능 척도를 활용하여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은 ‘초인지적 문화지능’, ‘인지적 문화지능’, ‘동기적 문화지능’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행동적 문화지능’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교수·학습을 설계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행동 발현 측면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Based on Byram’s theoretical model and Holzbrecher’s heurist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is study designed inter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for Korean learners, and empirically analyzed its impact on cultural intelligence improvement by applying a two-way group pre-post test to Vietnamese middle and advanced-level learners. This study incorporated methods such as language learning, language recognition, cultural recognition, cultural experience, and the ethnographic approach to enhance intercultural interaction for Korean learners, and examined the changes using Ang et al.’s (2007) cultural intelligence sca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ter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for Korean learners had a significantly high impact on ‘metacognitive CQ’, ‘cognitive CQ’, and ‘motivational CQ’. On the other hand, it transpired that ‘behavioral CQ’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dicating that the behavioral expression of Korean learners was not 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메타 리터러시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발전과 확장성
- [서평] 플롯 유형론에 나타난 이야기 원형 찾기의 양상과 의미에 대한 소고
- 김수영 시의 리듬 연구
- 임기현의 「금강산유상일기」에 대한 연구
- 새로운 가사집 『금수강산유람기(錦繡江山遊覽記)』의 발굴과 자료적 가치
- 텍스트 난이도 측정을 위한 응집성 측정 변수 연구
- 쓰기 효능감과 쓰기 능력에 따른 초등 필자 유형 분석 연구
- 쓰기 능력 발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독자의 읽기 중 딴생각(Mind Wandering)유발 요인 분석
- 2022 국어과 교육과정 ‘독서와 작문’의 쟁점과 과제
- K-드라마를 통한 ‘Big C·Little c’ 통합 교수·학습 방안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문화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학위논문 장르 교육에서 자기중심성 극복을 위한 위키(wiki) 활동 설계 방안
-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국어 강연 어휘 분석 연구
- 국외 대학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검토
-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과 요구 분석
- 직소(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자기소개서 교육 방법 및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 모듈 운영의 의의 분석
- 웹툰에 반영된 문화 리터러시
- 인컨텍스트 러닝을 통한 ChatGPT의 시적 표현 해석 가능성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윤리에 대한 학부생 인식 연구
- 인공지능 기반 한문 번역을 위한 코퍼스 추출 및 정제 과정
-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과 리터러시 역량
- 리터러시 연구 14권 4호 목차
- [서평] 더, 좋은 이야기를 기대하는 마음에 대하여
- [서평] 한국 근대미술의 요람, 서촌의 화가와 예술가들 이야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