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웹툰에 반영된 문화 리터러시
이용수 392
- 영문명
- Cultural Literacy Reflected in Webtoons: Openness and Expansibility in Digital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인옥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4호, 131~17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웹툰의 특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콘텐츠 사이의 교섭과 상호관련성을 통해 웹툰에 나타난 현대 디지털 사회의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에 있다. 문화콘텐츠의 이해는 당대 사회적 맥락에서 매개된 소통으로 사회문화적 효과를 이해하는 것이므로, 한국 콘텐츠 시장에서 주목받는 웹툰의 문화적 교섭과 상호관련성 탐구는 주체적 문화 리터러시에 기여한다.
웹과 플랫폼의 형태에 맞는 웹툰의 서비스 형식은 디지털 환경에서 장르를 넘나드는 개방성과 높은 확장성으로 웹툰이 문화콘텐츠로 인정받는 이유가 되었다. 내용적 측면에서 동시대 한국 대중을 대변하는 일상의 내용이 적극적으로 차용된 스토리형 웹툰이 고정 팬덤 확보에 기여했다면, 기술적 측면에서는 확장된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새로운 기술의 도입으로 멀티플랫폼 스토리텔링이라는 매체적 변화를 이루어 웹툰이 중요 지식재산권(IP)으로 진화하게 된 요인이 되었다.
적극적인 향유자의 개입과 참여를 유도하는 다중 연결과 문제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으로서 웹툰은 문화콘텐츠의 개방성과 확장성 측면에서 문화 리터러시를 높이는 융합적·창조적 사고의 효과적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cultural meaning in modern digital society reflected in webtoons through the negotiation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diverse cultural contents center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webtoon. The understanding of their cultural contents reveals their sociocultural effects through communication by being mediated in their contemporary social context. Thus, the exploration of cultural negotiation and interrelationship in webtoons, which attracts attention in the Korean content market, contributes to subjective cultural literacy.
Webtoon services via the web and platforms have caused webtoons to be recognized as cultural content with the cross-genre openness and high expansibility in a digital environment. In the contextual aspect, the story-type webtoon, which actively borrows daily contents representing the contemporary Korean public, has contributed to securing a fixed fandom. Contrariwise, on the technical side,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optimized for the expanded mobile environment spurred a media-based change dubbed multi-platform storytelling, thereby facilitating the evolution of webtoons into important IP(intellectual property).
Webtoons’ multi-connectivity and problem-based storytelling, which induce aggressive intervention and participation in its fans, are significant in affording opportunities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convergence-based and creative thinking, which enhances cultural literacy with respect to openness and expansibility in cultural contents.
목차
1. 서론
2. 디지털 스토리텔링으로서의 웹툰
3. 문화콘텐츠 주류로서의 웹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메타 리터러시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발전과 확장성
- [서평] 플롯 유형론에 나타난 이야기 원형 찾기의 양상과 의미에 대한 소고
- 김수영 시의 리듬 연구
- 임기현의 「금강산유상일기」에 대한 연구
- 새로운 가사집 『금수강산유람기(錦繡江山遊覽記)』의 발굴과 자료적 가치
- 텍스트 난이도 측정을 위한 응집성 측정 변수 연구
- 쓰기 효능감과 쓰기 능력에 따른 초등 필자 유형 분석 연구
- 쓰기 능력 발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독자의 읽기 중 딴생각(Mind Wandering)유발 요인 분석
- 2022 국어과 교육과정 ‘독서와 작문’의 쟁점과 과제
- K-드라마를 통한 ‘Big C·Little c’ 통합 교수·학습 방안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문화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학위논문 장르 교육에서 자기중심성 극복을 위한 위키(wiki) 활동 설계 방안
-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국어 강연 어휘 분석 연구
- 국외 대학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검토
-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과 요구 분석
- 직소(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자기소개서 교육 방법 및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 모듈 운영의 의의 분석
- 웹툰에 반영된 문화 리터러시
- 인컨텍스트 러닝을 통한 ChatGPT의 시적 표현 해석 가능성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윤리에 대한 학부생 인식 연구
- 인공지능 기반 한문 번역을 위한 코퍼스 추출 및 정제 과정
-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과 리터러시 역량
- 리터러시 연구 14권 4호 목차
- [서평] 더, 좋은 이야기를 기대하는 마음에 대하여
- [서평] 한국 근대미술의 요람, 서촌의 화가와 예술가들 이야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