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과 요구 분석
이용수 43
- 영문명
- Analysis of Learners’ Satisfaction and Needs for Basic Writing Classes at D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박은하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4호, 229~25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D대학교의 글쓰기 수업인 <글쓰기기초>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 및 요구분석을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글쓰기 수업을 듣는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에서 알 수 있었던 점은 우선적으로 학생들은 <글쓰기기초> 수업에 만족한다는 것이다. 또한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학생들의 사고와 표현에 있어서 도움 정도, 글쓰기수업의 필요성 등은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 크게 기여하는 요소로 학생들은 교수자의 전문성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는 수업 시간과 수업 방식에 대한 것이었는데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방식에 적응한 일부 학생들이 대면 수업보다 온라인으로 수업하기를 바라고 수업 시간도 줄이기를 요구하였다. 글쓰기 수업을 듣는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것이 아니므로 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는 없다. 하지만 학생들이 실제로 글쓰기 수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무엇을 요구하는지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learners’ 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of a writing course, titled “Basic Writing,” at D University,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to 126 students taking this course. The findings revealed a high level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class. Additionally, the overall class evaluation by students, the extent of assistance provided to improve students’ thinking ability and expression skills, and the need for writing classes were all positively perceived. Students felt that the professor’s expertise contributed to their positive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levels. Students who had somewhat adapted to online classes due to the coronavirus disease preferred it to the current face-to-face mode, which the university has reverted to after the pandemic. Their expectations regarding the class timings and study mode are more related to operational rather than educational aspect. Whi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not be generalized due to the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they still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students’ satisfaction levels and their needs regarding writing classe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내용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메타 리터러시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발전과 확장성
- [서평] 플롯 유형론에 나타난 이야기 원형 찾기의 양상과 의미에 대한 소고
- 김수영 시의 리듬 연구
- 임기현의 「금강산유상일기」에 대한 연구
- 새로운 가사집 『금수강산유람기(錦繡江山遊覽記)』의 발굴과 자료적 가치
- 텍스트 난이도 측정을 위한 응집성 측정 변수 연구
- 쓰기 효능감과 쓰기 능력에 따른 초등 필자 유형 분석 연구
- 쓰기 능력 발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독자의 읽기 중 딴생각(Mind Wandering)유발 요인 분석
- 2022 국어과 교육과정 ‘독서와 작문’의 쟁점과 과제
- K-드라마를 통한 ‘Big C·Little c’ 통합 교수·학습 방안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문화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학위논문 장르 교육에서 자기중심성 극복을 위한 위키(wiki) 활동 설계 방안
-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국어 강연 어휘 분석 연구
- 국외 대학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검토
-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과 요구 분석
- 직소(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자기소개서 교육 방법 및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 모듈 운영의 의의 분석
- 웹툰에 반영된 문화 리터러시
- 인컨텍스트 러닝을 통한 ChatGPT의 시적 표현 해석 가능성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윤리에 대한 학부생 인식 연구
- 인공지능 기반 한문 번역을 위한 코퍼스 추출 및 정제 과정
-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과 리터러시 역량
- 리터러시 연구 14권 4호 목차
- [서평] 더, 좋은 이야기를 기대하는 마음에 대하여
- [서평] 한국 근대미술의 요람, 서촌의 화가와 예술가들 이야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