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자의 읽기 중 딴생각(Mind Wandering)유발 요인 분석
이용수 167
- 영문명
- Analysis of the reader’s mind-wandering triggers during read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장동민 백희정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4호, 453~48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읽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MW 유발 요인을 도출하고, 독자의 몰입 읽기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 범주의 MW 유발 요인, 시간대별 MW 발생 횟수와 MW 발생 후, 독자의 감정 상태를 도출하였다. 먼저, 세 가지 범주의 MW 유발 요인을 살펴보면, 첫째는 ‘독자 내면으로 유도된 딴생각(Internally Directed MW)’이다. 이 유발 요인은 텍스트나 과제 수행과 무관한 독자내면을 향한 생각들로 설명되었다. 둘째는 ‘과제 상황 관련 딴생각(Task-Related MW)’ 이다. 이 유발 요인은 과제를 수행하는 중 과제 수행을 지나치게 의식하거나 혹은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수행 맥락에서 벗어난 경우를 가리킨다. 셋째는 ‘텍스트에서 기인한 딴생각(MW Triggered by Text)’이다. 이 유발 요인은 텍스트에 제시된 단어나 인물, 삽화로부터 촉발된 생각들을 포함하였다. 다음으로 MW의 시간대별 발생 횟수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지속적 묵독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MW가 발생한 이후 독자들의 감정을 확인한 결과, 37%의 연구 대상자들이 부정적인 감정을 호소하였다. MW의 발생 없이 지속적으로 묵독하는 습관은 읽기 동기와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만큼, MW와 몰입 읽기에 천착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rive MW triggers that occur in the reading process and to seek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readers’ flow in rea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largely derived three categories of MW triggers, the number of MW occurrences by time zone, and the reader’s emotional state after MW occurrence. First, looking at the three categories of MW triggers, the first is ‘Internally Directed MW induced inside the reader’. This trigger was explained by thoughts toward the reader’s inner self unrelated to text or task performance. The second is ‘Task-Related MW’. This trigger refers to cases in which the task is overly conscious of the task performance or deviates from the performance contex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third is ‘MW Triggered by Text’. This trigger included thoughts triggered by words, characters, and illustrations presented in the text.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MW by time zone, it was also revealed that students were not able to read continuously. Finally, as a result of confirming readers’ emotions after MW occurred, 37% of the study subjects complained of negative emotions. As the habit of continuously reading silently without the occurrence of MW has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motivation and efficacy, it will be necessary to adhere to MW and immersive reading.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메타 리터러시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발전과 확장성
- [서평] 플롯 유형론에 나타난 이야기 원형 찾기의 양상과 의미에 대한 소고
- 김수영 시의 리듬 연구
- 임기현의 「금강산유상일기」에 대한 연구
- 새로운 가사집 『금수강산유람기(錦繡江山遊覽記)』의 발굴과 자료적 가치
- 텍스트 난이도 측정을 위한 응집성 측정 변수 연구
- 쓰기 효능감과 쓰기 능력에 따른 초등 필자 유형 분석 연구
- 쓰기 능력 발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독자의 읽기 중 딴생각(Mind Wandering)유발 요인 분석
- 2022 국어과 교육과정 ‘독서와 작문’의 쟁점과 과제
- K-드라마를 통한 ‘Big C·Little c’ 통합 교수·학습 방안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문화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학위논문 장르 교육에서 자기중심성 극복을 위한 위키(wiki) 활동 설계 방안
-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국어 강연 어휘 분석 연구
- 국외 대학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검토
-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과 요구 분석
- 직소(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자기소개서 교육 방법 및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 모듈 운영의 의의 분석
- 웹툰에 반영된 문화 리터러시
- 인컨텍스트 러닝을 통한 ChatGPT의 시적 표현 해석 가능성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윤리에 대한 학부생 인식 연구
- 인공지능 기반 한문 번역을 위한 코퍼스 추출 및 정제 과정
-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과 리터러시 역량
- 리터러시 연구 14권 4호 목차
- [서평] 더, 좋은 이야기를 기대하는 마음에 대하여
- [서평] 한국 근대미술의 요람, 서촌의 화가와 예술가들 이야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