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과 리터러시 역량
이용수 2107
- 영문명
- Reimagining writing education as a liberal art in the age of generative AI and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윤인선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4호, 13~4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Chat-GPT를 비롯한 생성형AI가 인간의 글쓰기를 대신해줄 수 있는 가능성이 논의되는 상황 속에서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의 변화 가능성과 리터러시역량에 대해 논의한다.
생성형AI는 단순한 정보처리를 넘어서,대용량의 데이터 학습을 바탕으로 다양한글을 손쉽게 작성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이에 따라 글쓰기 교육에서는 생성형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이것의 효율적인 활용과 문제점(인간의 주체성 상실,데이터의 신뢰도 등)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된다.하지만 이러한글쓰기 교육에서는 인간의 글쓰기 경험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리터러시 역량은 간과된다.이에 따라 본고는 궁극적으로 생성형AI와 인간의 공존 속에서 교양교육으로서글쓰기 교육이 ‘글’이라는 ‘결과물의 생산’이 아니라 ‘글쓰기 경험’에 초점을 두고 설계되어야 할 필요성과 이를 통해 학습되는 리터러시 역량에 대해 논의한다.글쓰기 교육의 지향점을 리터러시 역량이라고 할 때,이는 인간의 사고를 반성·조작하는 쓰기의 메타언어적 인지의 성격으로 인해 글쓰기 과정에서 학습된다.본고는 이러한 모습을 2022년 2학기와 2023년 1학기에H대학에서 진행한 글쓰기 교과와 비교과 활동결과물 및 학습자 인터뷰를 통해 설명한다.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고는Chat-GPT를비롯한 생성형AI를 쓰기가 아닌 읽기의 도구로 활용하면서, 학습자의 글쓰기 경험을통해 리터러시 역량을 학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장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writing education and literacy within the framework of liberal art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ongoing discourse regarding the capabilities of generative AI, such as ChatGPT, to replace human-generated writing.
Generative AI is characterized by its ability to easily generate various texts based on learning from large volumes of data. In light of actively integrating generative AI into writing education, measures to efficiently utilize it and address its challenges (loss of human subjectivity, reliability of data, etc.) are proposed. However, the intrinsic value of literacy cultivated through human writing experiences is often overlooked in such writing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the need for conceiving writing education as a facet of liberal arts, with a focus on the “writing experience” rather than the mechanical “production of texts.” When the objective of writing education revolves around nurturing literacy, such proficiency is mostly manifested in the writing process itself, rather than the production of texts, due to the meta-linguistic and cognitive nature of writing.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advocates for utilizing generative AI as a tool for enhancing reading experiences rather than writing endeavors, thus enabling learning literacy based on learners’ writing process experiences.
목차
1. 들어가며
2. 생성형 AI의 활용을 통한 글쓰기 과정의 변화
3. 리터러시 역량 학습을 위한 Chat-GPT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4. 마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메타 리터러시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발전과 확장성
- [서평] 플롯 유형론에 나타난 이야기 원형 찾기의 양상과 의미에 대한 소고
- 김수영 시의 리듬 연구
- 임기현의 「금강산유상일기」에 대한 연구
- 새로운 가사집 『금수강산유람기(錦繡江山遊覽記)』의 발굴과 자료적 가치
- 텍스트 난이도 측정을 위한 응집성 측정 변수 연구
- 쓰기 효능감과 쓰기 능력에 따른 초등 필자 유형 분석 연구
- 쓰기 능력 발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독자의 읽기 중 딴생각(Mind Wandering)유발 요인 분석
- 2022 국어과 교육과정 ‘독서와 작문’의 쟁점과 과제
- K-드라마를 통한 ‘Big C·Little c’ 통합 교수·학습 방안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문화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학위논문 장르 교육에서 자기중심성 극복을 위한 위키(wiki) 활동 설계 방안
-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국어 강연 어휘 분석 연구
- 국외 대학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검토
-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과 요구 분석
- 직소(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자기소개서 교육 방법 및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 모듈 운영의 의의 분석
- 웹툰에 반영된 문화 리터러시
- 인컨텍스트 러닝을 통한 ChatGPT의 시적 표현 해석 가능성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윤리에 대한 학부생 인식 연구
- 인공지능 기반 한문 번역을 위한 코퍼스 추출 및 정제 과정
-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과 리터러시 역량
- 리터러시 연구 14권 4호 목차
- [서평] 더, 좋은 이야기를 기대하는 마음에 대하여
- [서평] 한국 근대미술의 요람, 서촌의 화가와 예술가들 이야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