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글쓰기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윤리에 대한 학부생 인식 연구
이용수 1615
- 영문명
- Undergraduates’ Awareness of the Ethics of Generative AI Utilization in College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오선경 장미정 박정은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4호, 69~9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시 학부생의 생성형AI 활용 현황과 윤리 인식을 살펴보고, 생성형AI를 활용한 글쓰기 관련 윤리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에서 대학 글쓰기 과목을 수강하는 학부생 8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생성형AI를 활용하여 대학 글쓰기 과제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학부생들은 ChatGPT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일반보고서를 작성할 때 아이디어 생성 및 자료 수집 과정에서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험자의 반수 이상이사용 경험에 대해 만족하였다.
학부생들은 평소 대학 글쓰기 과제 수행 시 글쓰기 윤리를 잘 준수하고 있으며 생성형AI를 활용했을 때의 문제도 잘 인식하고 있지만, 생성형AI를 활용했을 때 글쓰기에서의 인용 방법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글쓰기를 수행할 때의 인용 방법 및 글쓰기 윤리에 대한 높은 교육 요구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부생의 전공계열 및 생성형 AI 사용 경험 유무에 따라서 현재의 인식 수준과 교육 요구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과목에서 생성형 AI를 글쓰기에 활용할 때의 글쓰기 윤리 준수와 인용 방법이 교육되어야 하고, 수강생의 전공계열별 인식과 교육 요구의 차이를 반영한 교육이 마련되어야 하며, 보고서 작성법 교육 시 아이디어 생성 및 자료 수집에서 ChatGPT를 활용하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utilization of generative AI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ir awareness of ethics in college writing. It also identifies the demand for ethics education related to writing using generative AI. A survey was conducted on 895 undergraduate students taking college writing courses at A University.
The study found that first,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ve had experience with university writing tasks employed generative AI used ChatGPT the most; they used it substantially to generate ideas and collect data when writing general reports. In addition, more than half of the experienced users were satisfied with generative AI. Undergraduate students comply with writing ethics when performing college writing and are well aware of the problems in using generative AI, but they have low awareness of citation methods in writing when using generative AI. There was a high educational demand for citation methods and writing ethics when performing writing using generative AI. Moreo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depending on the undergraduate major and the experience of using generative AI.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measures in college writing subjects: education on how to comply with writing ethics and citation when using generative AI for writing, education that reflects the differences in students’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by major category, and education on how to use ChatGPT in generating ideas and collecting data when teaching how to write a report.
목차
1. 서론
2. 생성형 AI와 글쓰기 교육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메타 리터러시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발전과 확장성
- [서평] 플롯 유형론에 나타난 이야기 원형 찾기의 양상과 의미에 대한 소고
- 김수영 시의 리듬 연구
- 임기현의 「금강산유상일기」에 대한 연구
- 새로운 가사집 『금수강산유람기(錦繡江山遊覽記)』의 발굴과 자료적 가치
- 텍스트 난이도 측정을 위한 응집성 측정 변수 연구
- 쓰기 효능감과 쓰기 능력에 따른 초등 필자 유형 분석 연구
- 쓰기 능력 발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독자의 읽기 중 딴생각(Mind Wandering)유발 요인 분석
- 2022 국어과 교육과정 ‘독서와 작문’의 쟁점과 과제
- K-드라마를 통한 ‘Big C·Little c’ 통합 교수·학습 방안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문화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학위논문 장르 교육에서 자기중심성 극복을 위한 위키(wiki) 활동 설계 방안
-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국어 강연 어휘 분석 연구
- 국외 대학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검토
-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과 요구 분석
- 직소(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자기소개서 교육 방법 및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 모듈 운영의 의의 분석
- 웹툰에 반영된 문화 리터러시
- 인컨텍스트 러닝을 통한 ChatGPT의 시적 표현 해석 가능성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윤리에 대한 학부생 인식 연구
- 인공지능 기반 한문 번역을 위한 코퍼스 추출 및 정제 과정
-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과 리터러시 역량
- 리터러시 연구 14권 4호 목차
- [서평] 더, 좋은 이야기를 기대하는 마음에 대하여
- [서평] 한국 근대미술의 요람, 서촌의 화가와 예술가들 이야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