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드라마를 통한 ‘Big C·Little c’ 통합 교수·학습 방안
이용수 130
- 영문명
- ‘Big C·Little C’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rough K-drama: 2022 Sejong Culture Academy In-depth Course Focusing on “Mr. Sunshine” and Ikseon-dong Content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성희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4권 4호, 393~41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역사적 사실과 한국인 일상을 통한 학습자의공감 증진이라는 화두로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개화기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두 남녀의 사랑 이야기를 한국인들이 일상 속에서 접하는 장소인 익선동과 연관시키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했다.
일상과 역사를 연결하는 방안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근 70년 이상 진행되었던 ‘Big C와 Little c’에 대한 논의에서 찾았다. 한국 문화 교육에서 이 두 영역이 함께 논의되어야 하는 당위성을 점검하고, 그 구체적인 영역을 제시했다.
한국 문화 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개인 성장을 목표로 스턴의 문화 교육 목표에 따라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행위적 영역으로 나누었다. 인지적 영역을 Big C와 Little c로 나누고 Big C에 역사를 Little c에 일상에서 체험하는 문화를 배치했다. 학습자에게 한국 문화 교육이 의미 있는 것이 되게 하기 위해 학습자의 개인적 연관을 고려하여 정의적 영역에 공감과 체험 활동을 배치했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topic of promoting learners’ empathy through historical facts and Korean daily life in the drama Mr. Sunshine. In this study,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as proposed to connect the love story of a man and a woman set in the flowering period of Korea to Iksun-dong, a place that Koreans encounter in their daily live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how to connect daily life and history was found in the discussion of ‘Big C and Little c’, which has been going on for more than 70 years. The legitimacy of these two areas to be discussed together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was examined and the specific areas were presented.
With the goal of personal growth of learners through Korean cultural education, the areas of cultural education was divided into cognitive, definitional, and behavioral areas according to Stern’s classification. The cognitive domain was divided into Big C and Little c, and history was placed in Big C and everyday culture in Little c. To make Korean culture education meaningful to learners, empathy and experiential activities were placed in the definitional domain, considering learners’ personal connections.
목차
1. 서론
2. 한국 문화 교육에서‘ Big C·Little c’ 논의
3.‘ 미스터 션샤인’을 통한 Big C·Little c 교수·학습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평] 메타 리터러시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발전과 확장성
- [서평] 플롯 유형론에 나타난 이야기 원형 찾기의 양상과 의미에 대한 소고
- 김수영 시의 리듬 연구
- 임기현의 「금강산유상일기」에 대한 연구
- 새로운 가사집 『금수강산유람기(錦繡江山遊覽記)』의 발굴과 자료적 가치
- 텍스트 난이도 측정을 위한 응집성 측정 변수 연구
- 쓰기 효능감과 쓰기 능력에 따른 초등 필자 유형 분석 연구
- 쓰기 능력 발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독자의 읽기 중 딴생각(Mind Wandering)유발 요인 분석
- 2022 국어과 교육과정 ‘독서와 작문’의 쟁점과 과제
- K-드라마를 통한 ‘Big C·Little c’ 통합 교수·학습 방안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 교수·학습 설계가 문화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학위논문 장르 교육에서 자기중심성 극복을 위한 위키(wiki) 활동 설계 방안
-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국어 강연 어휘 분석 연구
- 국외 대학 디지털 리터러시 수업 사례 검토
-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과 요구 분석
- 직소(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자기소개서 교육 방법 및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 모듈 운영의 의의 분석
- 웹툰에 반영된 문화 리터러시
- 인컨텍스트 러닝을 통한 ChatGPT의 시적 표현 해석 가능성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의 생성형 AI 활용 윤리에 대한 학부생 인식 연구
- 인공지능 기반 한문 번역을 위한 코퍼스 추출 및 정제 과정
- 생성형 AI 시대의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과 리터러시 역량
- 리터러시 연구 14권 4호 목차
- [서평] 더, 좋은 이야기를 기대하는 마음에 대하여
- [서평] 한국 근대미술의 요람, 서촌의 화가와 예술가들 이야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