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거문오름 일대 삼나무림 간벌이 하층식물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3
- 영문명
- Effect on Changes of Understory Plant Distribution After Thinning Japanese Cedar Forests Around Geomunoreum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고정군(Koh, Jung-Goon) 김종갑(Kim, Jong-Gab) 한승필(Han, Seung-Pil) 김권수(Kim, Kwon-Su)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0권, 357~37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주도 거문오름 일대 삼나무림의 자연식생회복을 목적으로 이루어진 삼나무 간벌이
식물종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식물분포변화를 조사하였다. 2018년부터
5년 동안 간벌지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51과 79속 86종 1아종 8변종으로 총 95분류
군이었다. 이는 미간벌지에서 확인된 52분류군과 자연림 조사구 내 67분류군에 비해
많은 출현종수를 보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간벌지에서 25분류군, 미간벌지에서
14분류군, 자연림에서 25분류군으로 분석되었다. 2018년 이후 간벌지는 4년 동안 40
종이, 자연림이 33종, 미간벌지가 23종 순으로 증가하였다. 종풍부도는 간벌지에서
3.16이 상승한 반면 미간벌지는 1.10이 상승하여 간벌지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자연
림에서 4.11이 상승한 것에 비해서는 낮았다. 삼나무 간벌 후 6년이 지난 간벌지의 종
다양도는 3.64로 가장 높았고 자연림이 3.42, 미간벌지가 3.21 순으로 나타났다. 간벌
지 내 삼나무 흉고 직경의 생장은 미간벌지에 비해 높게 유지되었다. 이처럼 거문오름
일대 삼나무 간벌지는 새롭게 출현하는 식물종과 개체수가 증가하면서 주변 자연림의
식물종다양성과 유사하게 변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in understory plant distribution to find out the
effect of cedar(Cryptomeria japonica) thinning on the diversity of plant species in the
Geomunoreum of J e ju Island, the purpose of which was to restore natural vegetation.
The vascular plants identified in the thinned plantations for 5 years from 2018 were a
total of 95 taxa including 51 families, 79 genera, 86 species, 1 subspecies and 8
variants. This showed a higher number of species compared to 52 taxa in the unthinned
plantations and 67 taxa in the natural forest stand. The floristic target plants were
identified: 25 taxa in the thinned plantations, 14 taxa in the unthinned plantations, and
25 taxa in the natural forest. For 4 years after 2018, an increase of 40 species in the
thinned plantations showed the highest rate of increase, followed by natural forests with
33 species and unthinned plantations with 23 species. The species richness increased in
both thinned and unthinned plantations, 3.16 and 1.10 respectively which is lower than
4.11 in natural forests. The species diversity with an elapsed time of 6 years after
thinning rose 3.64 in the thinned plantations, 3.42 in the natural forest and 3.21 in the
unthinned plantations. The growth of diameter of the breast height was higher than that
in the unthinned plantat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diversity of plant species in the
thinned plantations around Geomunoreum is changing similarly to the surrounding natural
forest as the number and population of newly emerging plant species increas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일제주인의 재일(在日)사회 발전에 대한 공헌
- 2000년대 제주 이주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 제주 지역브랜드화를 위한 ‘설문대할망’ 콘텐츠 IP 전략 연구
- 제주도연구 제60권 목차
- 거문오름 일대 삼나무림 간벌이 하층식물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제주목사 이형상 인식 연구
- 사진작가 김영갑에게 있어 제주도의 공간적 의미 -자전적 에세이집『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그 섬에 내가 있었네』를 대상으로-
-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솔잎 발효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 조선 시대 정의현 유배인 연구
- 제주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 아프리카 ‘주민주도적 학교 만들기’에 대한 교육적 의미 -부룬디 공화국 ‘최정숙여자고등학교’ 설립을 중심으로-
- 성읍민속마을의 관광객 평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중심으로-
- 제주올레길에서 발견되는 제주방언 지명 연구 -1~12코스의 설명 현황을 중심으로-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제주 동백동산 습지 방문객을 사례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