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올레길에서 발견되는 제주방언 지명 연구 -1~12코스의 설명 현황을 중심으로-
이용수 46
- 영문명
- An Analysis on Jeju Dialect Place Names in Olle Trails - Focused on the Forms Found in Course 1~12 -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신현규(Shin, Hyun-Kyu)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0권, 61~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올레길 탐방자가 탐방 과정에서 공식 웹사이트 또는 스마트폰 앱을
사용하면서 접하게 될 제주방언 어휘가 제대로 설명되고 있는지를 살피고 보완할 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주올레길 1코스부터 12코스까지 전체 15개의 코스
(정규 코스 12개, 부속 코스 3개)를 대상으로 하여 총 67개의 항을 수집하였으며, 통
계적으로 설명이 충분한 항이 26개, 설명이 부족한 항이 7개, 설명이 없는 항이 34개
로 나타나서 제주방언이 올레길 콘텐츠에서 오롯이 설명되지는 않고 있음을 밝혔다.
이어서 코스별로 어휘를 확인하면서 설명 현황과 설명 가능성을 살폈고, 그중에서 형
태적으로는 설명이 잘 되었으나 실제 유래와 맞지 않는 것, 일본식 발음이 들어간 것
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항을 유지, 보충, 교체, 추가로 분류하여 각
각에 맞는 보완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Jeju dialect lexicon found in the official website and
smartphone application of Olle trails as to clarify whether it has been explained properly
or not. To this end, 15 courses, composed of 12 regular and 3 extra ones between
Course 1 and 12, had been analyzed and 67 items were collected in total. The statistic
results were revealed as follows: explanations completely for 26 items, partially for 7
items, and lacking for 34 items. This shows that Jeju dialect has not been properly
utilized as a content field in Olle trails. Next, each item was profoundly examined, and
items to be reconsidered were found. Finally, the last part of this paper suggested the
supplements based on the previous examin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일제주인의 재일(在日)사회 발전에 대한 공헌
- 2000년대 제주 이주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 제주 지역브랜드화를 위한 ‘설문대할망’ 콘텐츠 IP 전략 연구
- 제주도연구 제60권 목차
- 거문오름 일대 삼나무림 간벌이 하층식물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제주목사 이형상 인식 연구
- 사진작가 김영갑에게 있어 제주도의 공간적 의미 -자전적 에세이집『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그 섬에 내가 있었네』를 대상으로-
-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솔잎 발효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 조선 시대 정의현 유배인 연구
- 제주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 아프리카 ‘주민주도적 학교 만들기’에 대한 교육적 의미 -부룬디 공화국 ‘최정숙여자고등학교’ 설립을 중심으로-
- 성읍민속마을의 관광객 평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중심으로-
- 제주올레길에서 발견되는 제주방언 지명 연구 -1~12코스의 설명 현황을 중심으로-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제주 동백동산 습지 방문객을 사례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