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읍민속마을의 관광객 평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중심으로-
이용수 74
- 영문명
- Network Analysis and Sentiment Analysis on Tourist Evaluation of Seongeup Folk Village - Based on Tripadvisor Reviews -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고성일(Ko, Seong-Il) 남윤섭(Nam, Yoon-Seob) 임화순(Lim, Hwa-Soon)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0권, 113~13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읍민속마을에 대한 관광객 평가를 여행 플랫폼인 트립어드바이저 리뷰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을 수행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별점 1개, 2개를 선택한 관광객들은 성읍민속마을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강요, 강
매, 호객행위 등을 중심으로 리뷰를 작성하였고, 별점 3개, 4개를 선택한 관광객들은
상품에 대한 판매와 현지 가이드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리뷰를 작성하였다. 별점 5
개를 선택한 관광객들은 현지 가이드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리뷰를 작성하였다. 감
성분석 결과 별점이 높을수록 성읍민속마을에 대해 긍정적인 단어 사용 빈도가 높았으
며, 긍정 단어 중에서도 호감 범주의 ‘좋다’, ‘추천한다’, ‘전통적이다’ 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반대로 부정 단어 중에서는 거부감 범주의 단어가 사용 빈도가 높았으며, 세
부적으로 ‘끔찍하다’, ‘나쁘다’, ‘재미없다’ 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관광객 리뷰 분
석을 통해 성읍민속마을의 장점은 현지 가이드 시스템이며, 약점은 상품에 대한 판매,
호객행위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향후 이러한 점을 인지하여 강점을 극대
화하고, 약점을 최소화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이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network analysis and sentiment analysi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ourists' evaluation of Seongeup Folk Village through review analysis of TripAdvisor, a
travel platform.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tourists who selected 1 or 2 stars
wrote reviews focusing on forcing, selling, and soliciting products sold in Seongeup Folk
Village, and tourists who selected 3 or 4 stars wrote reviews focusing on sales of
products and local guides. Tourists who selected 5 stars wrote review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local guide. As a result of sentiment analysis, the higher the star rating,
the higher the frequency of using positive words about Seongeup Folk Village. On the
contrary, among the negative words, the words of the rejection category were used
frequently, and in detail, 'terrible', 'bad', and 'uninteresting'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Through the analysis of tourist reviews, the strength of Seongeup Folk Village is the
local guide system, and the weakness is sales of products and solicitation.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s these points in the future, maximizes strengths, and minimizes
weaknesses.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일제주인의 재일(在日)사회 발전에 대한 공헌
- 2000년대 제주 이주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 제주 지역브랜드화를 위한 ‘설문대할망’ 콘텐츠 IP 전략 연구
- 제주도연구 제60권 목차
- 거문오름 일대 삼나무림 간벌이 하층식물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제주목사 이형상 인식 연구
- 사진작가 김영갑에게 있어 제주도의 공간적 의미 -자전적 에세이집『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그 섬에 내가 있었네』를 대상으로-
-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솔잎 발효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 조선 시대 정의현 유배인 연구
- 제주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 아프리카 ‘주민주도적 학교 만들기’에 대한 교육적 의미 -부룬디 공화국 ‘최정숙여자고등학교’ 설립을 중심으로-
- 성읍민속마을의 관광객 평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중심으로-
- 제주올레길에서 발견되는 제주방언 지명 연구 -1~12코스의 설명 현황을 중심으로-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제주 동백동산 습지 방문객을 사례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