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프리카 ‘주민주도적 학교 만들기’에 대한 교육적 의미 -부룬디 공화국 ‘최정숙여자고등학교’ 설립을 중심으로-
이용수 51
- 영문명
-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mmunity Driven School Making in Africa - Centered on 'Technical High School for Girls Choi Jung Sook' in the Republic of Burundi –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양준영(Yang, Joon-Young)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0권, 241~26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8년에 설립된 부룬디 공화국의 유일한 여자고등학교인 ‘최정숙여자고등학교’는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의 비영리단체 ‘최정숙을 기리는 모임’의 지원 아래 상향식 거
버넌스형 주민주도적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본고에서는 상향식 거버넌스형 주민주도적
방식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최정숙여고의 설립 과정에서 주민, 정부, 전문가가 거버
넌스로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 그리고 이러한 주민주도적 접근의 교육적 의미에
대해 탐구한다. 주민주도적 학교 만들기 방식은 물리적 환경 조성만이 아닌 교육이 지
역 사회와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한다는 중요한 교육적 원리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주
민주도적 학교 만들기는 공동체 학습사회를 만들어내고 지역공동체를 강화시킴으로써
지역 발전을 도울 수 있다. 이러한 교육적 의미를 갖고 있는 최정숙여고는 빈곤의 여
성화 극복, 여성의 권리 향상, 교육의 공정성 강화를 돕고, 나아가 지역사회 및 국가의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주도적 인재를 양성한다는 점에서 아프리카 여성 중등교육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Founded in 2018, the Technical High School for Girls Choi Jung Sook in the Republic
of Burundi is the nation's only girls' high school. It was established with the support of
the Choi Jung Sook Memorial Society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using a
governance-type CDSM (Community Driven School Making) method. This paper
examines the specifics of this CDSM approach, the roles that residents, government, and
experts played in the governance during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Technical
High School for Girls Choi Jung Sook,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uch a
community-led approach. The CDSM method reflects the important educational principle
that education sh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local community, not just in terms
of physical environment. Furthermore, this approach fosters a community of learners and
strengthens the local community, thereby aiding regional development. With its
underlying educational significance, the Technical High School for Girls Choi Jung Sook
aids in overcoming the feminization of poverty, promoting women's rights, and enhancing
educational fairness. Furthermore, in its commitment to cultivating proactive leaders
capable of addressing local and national issues, the school offers a new direction for
African female secondary educ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일제주인의 재일(在日)사회 발전에 대한 공헌
- 2000년대 제주 이주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 제주 지역브랜드화를 위한 ‘설문대할망’ 콘텐츠 IP 전략 연구
- 제주도연구 제60권 목차
- 거문오름 일대 삼나무림 간벌이 하층식물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제주목사 이형상 인식 연구
- 사진작가 김영갑에게 있어 제주도의 공간적 의미 -자전적 에세이집『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그 섬에 내가 있었네』를 대상으로-
-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솔잎 발효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 조선 시대 정의현 유배인 연구
- 제주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 아프리카 ‘주민주도적 학교 만들기’에 대한 교육적 의미 -부룬디 공화국 ‘최정숙여자고등학교’ 설립을 중심으로-
- 성읍민속마을의 관광객 평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중심으로-
- 제주올레길에서 발견되는 제주방언 지명 연구 -1~12코스의 설명 현황을 중심으로-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제주 동백동산 습지 방문객을 사례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