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제주 동백동산 습지 방문객을 사례로-
이용수 207
- 영문명
- A Study on the Behavioral Intention of Ecotourism Visitors by Using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Focused on Visitors to Jeju Dongbaek-Dongsan Wetland -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고채환(Ko, Chai-Hwan)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0권, 87~11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태관광지의 지속적인 성장에 필요한 방문객의 행동의도 분석을 목적으
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행동의도를 설
명하고 예측하는데 검증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제주 동백동산 습지 방문
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행동의도에 대한 선행변수로는 계획행동의 하
위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지각된 가치와 환경의식을 추가변수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가치의 하위변수인 인식적 가치, 계획행동의 태도 및 주
관적 규범, 환경의식과 계획행동의 지각된 행동통제 순으로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지각된 가치의 하위변수인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
치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
점으로는 방문객의 인식적 가치, 태도, 주관적 규범, 환경의식, 지각된 행동통제를 반영
한 신규 홍보 및 마케팅 기획, 다양한 생태관광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생태관광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이해를 제고할 수 있는 해설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민
관 합동의 거버넌스 구성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ehavioral intention of eco-tourists
which is essenti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ecotourism. To do so, this study
conducted the survey on visitors from Dongbaek-Dongsan wetland in Jeju Island based
on applying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has been verified in the
preliminary study in order to explain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explored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composed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ith additional factors including perceived value and environmental
awareness as the antecedents of behavioral intentio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relations between those factors and behavioral intention were identified that epistemic
value,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environmental awarenes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re in the sequence of the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examined that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behavioral inten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clear
implications for ecotourism.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rketing and promotional
planning, and the various ecotourism programs that reflect visitors’ epistemic value,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environmental awarenes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related to their behavioral intention. Also, it is essential to provide interpretation and
education programs, and to organize governance with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ies,
environmental groups, experts and administration in order to raise social awareness
regarding diverse values of ecotouris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일제주인의 재일(在日)사회 발전에 대한 공헌
- 2000년대 제주 이주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 제주 지역브랜드화를 위한 ‘설문대할망’ 콘텐츠 IP 전략 연구
- 제주도연구 제60권 목차
- 거문오름 일대 삼나무림 간벌이 하층식물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제주목사 이형상 인식 연구
- 사진작가 김영갑에게 있어 제주도의 공간적 의미 -자전적 에세이집『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그 섬에 내가 있었네』를 대상으로-
-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솔잎 발효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 조선 시대 정의현 유배인 연구
- 제주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 아프리카 ‘주민주도적 학교 만들기’에 대한 교육적 의미 -부룬디 공화국 ‘최정숙여자고등학교’ 설립을 중심으로-
- 성읍민속마을의 관광객 평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중심으로-
- 제주올레길에서 발견되는 제주방언 지명 연구 -1~12코스의 설명 현황을 중심으로-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제주 동백동산 습지 방문객을 사례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