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xile of Jeonguihyeon(旌義縣) in the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홍기표(Hong, Ki-Pyo)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0권, 293~339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주는 조선 시대 본격적으로 유배의 섬이 되었다. 조선 시대 제주 유배인은 700여
명으로 조사되었다. 고려 후기 원명(元明)의 중국인 유배인 400여 명을 포함하면 문헌
에서 확인되는 고려, 조선 때 제주 유배인만도 천여 명이 넘는다. 이 중 정의현 유배인
은 122명이다. 이들은 대부분 조선 후기 때, 특히 영조 때 대거 유배되었다.
정의현 유배인 122명은 대부분 정치적인 이유로 유배되었다. 역모와 반란 등에 연좌
된 가족과 친인척이 46명으로 거의 절반에 이른다. 정권 변동과 역모 등에 연루된 유
배인도 20여 명, 간쟁과 왕명 비판 등의 이유로 유배된 이도 10명이다. 특히 18세기
전반 영조 때 이인좌의 난(1728년)과 나주괘서사건(1755년)으로 유배된 이가 많은 게
특징이다.
조선 시대 유배지 정의현 관련 연구는 그동안 전무하다. 최소한 문헌에 수록된 정의
현 유배인과 그들의 유배 기간 및 유배 사유 등에 관한 연구 성과가 없었다. 이에 본
고는 정의현 유배인을 살펴볼 수 있는 문헌 10여 종을 추려서 정밀 파악하였다. 아울
러 정의현 유배인 122명의 명단과 신분, 유배 시기와 사유, 출전 등을 목록화하여 제
시한다.
영문 초록
Jeju really became an island of exile in the Joseon Dynasty. As of 2021, the number
of people exiled to Jeju was found to be around 700 during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the Chinese exile of Yuan(元) and Ming(明) in the late Goryeo, Jeju’s exile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were more than 1,000 during Goryeo and Joseon Dynasty. Of
these, 122 people were exiled to Jeonguihyeon. Most of them were exil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especially during King Yeongjo(英祖).
The 122 people were mostly exiled for political reasons. Families and relatives
involved in treason and rebellion were 46, almost half of them. About 20 people were
exiled for political change and treason, and about 10 were exiled such as admonition and
criticism of the royal order. In particular, many people were exiled due to the rebellion
of Yi in-jwa(李麟佐, 1728) and Naju Gwaeseo(羅州掛書) incident(1755)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Jeonguihyeon, a place of exile during the Joseon
Dynasty. At least there was no research result on Jeonguihyeon’s exile and their exile
period and reasons for exile in the literature. Accordingly, this paper selected and
accurately grasped about 10 kinds of literature that can examine the exile of
Jeonguihyeon. In addition, the list and status of 122 people, the timing and reason of
exile, and reference are listed and present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일제주인의 재일(在日)사회 발전에 대한 공헌
- 2000년대 제주 이주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 제주 지역브랜드화를 위한 ‘설문대할망’ 콘텐츠 IP 전략 연구
- 제주도연구 제60권 목차
- 거문오름 일대 삼나무림 간벌이 하층식물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제주목사 이형상 인식 연구
- 사진작가 김영갑에게 있어 제주도의 공간적 의미 -자전적 에세이집『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그 섬에 내가 있었네』를 대상으로-
-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솔잎 발효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 조선 시대 정의현 유배인 연구
- 제주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 아프리카 ‘주민주도적 학교 만들기’에 대한 교육적 의미 -부룬디 공화국 ‘최정숙여자고등학교’ 설립을 중심으로-
- 성읍민속마을의 관광객 평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중심으로-
- 제주올레길에서 발견되는 제주방언 지명 연구 -1~12코스의 설명 현황을 중심으로-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제주 동백동산 습지 방문객을 사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