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161
- 영문명
- Research Trends of a Doctoral Dissertation Related to ‘Jeju Education’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김경주(Kim, Kyeong-Ju) 김일방(Kim, Il-Bang)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0권, 263~29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교육 관련 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제주교육의 연구 동향 및 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국회전자도서관 및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제주 관련 박사학위논문 1,735편을 수집하였으며, 이 중 제주교육 관련성 여부를 검토
하여 최종 70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 파악과 함께 466개
의 키워드를 도출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1) 제주교육 관
련 박사학위논문은 1990년에 1편이 발표되었고, 2012년부터 논문 발표 빈도가 늘고
있다. 1990년부터 2007년까지는 제주 이외의 지역에서 10편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2008년부터는 제주대학교에서도 제주교육 관련 박사학위논문이 발표되기 시작했다.
2008년 이후 발표된 총 60편 중 48편(80%)이 제주대학교에서 발표되었으며, 교과교
육학 분야인 과학교육 및 컴퓨터교육 관련 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2) 제주교육 관
련 박사학위논문의 네트워크 속성은 키워드 간 밀도가 낮고, 군집 계수는 높게 나타나
고 있다. 네트워크 구조는 교육프로그램 관련 키워드, 제주형이라 표현되는 제주지역의
인문・예술, 사회, 자연 관련 키워드, 교육 주체 관련 키워드, 교육과정 및 교과 내용 관
련 키워드, 교육기관 및 정책 관련 키워드가 나타나고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
주교육 관련 연구의 시사점 및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the trend of Jeju education-related research targeting doctoral
dissertation. Doctoral dissertation were collected from ‘RISS’,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70 papers were selected by reviewing whether or
not they were related to Jeju education. And For keyword analysis, 466 keywords were
derived and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first doctoral
dissertation related to Jeju education was published in 1990. And since 2012, the
frequency of dissertations publication has increased. From 1990 to 2007, 10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outside of Jeju. Since 2008, dissertations has been
published at Jeju National University. Of the total 60 dissertations published since 2008,
48(80%) dissertations are published by Jeju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s
are mostly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nd computer education. 2) The network
attribute has low density between keywords. And the cluster coefficient is high. The
structure of the network consists of ① keywords related to education programs, ②
keywords related to humanities, arts, society, and nature in Jeju, which is expressed as
'Jeju type' ③ keywords related to students & teacher ④ keywords related to curriculum
and subject content, ⑤ keywords related to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olicies.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of research related to Jeju
education were suggest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일제주인의 재일(在日)사회 발전에 대한 공헌
- 2000년대 제주 이주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 제주 지역브랜드화를 위한 ‘설문대할망’ 콘텐츠 IP 전략 연구
- 제주도연구 제60권 목차
- 거문오름 일대 삼나무림 간벌이 하층식물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제주목사 이형상 인식 연구
- 사진작가 김영갑에게 있어 제주도의 공간적 의미 -자전적 에세이집『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그 섬에 내가 있었네』를 대상으로-
-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솔잎 발효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 조선 시대 정의현 유배인 연구
- 제주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 아프리카 ‘주민주도적 학교 만들기’에 대한 교육적 의미 -부룬디 공화국 ‘최정숙여자고등학교’ 설립을 중심으로-
- 성읍민속마을의 관광객 평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중심으로-
- 제주올레길에서 발견되는 제주방언 지명 연구 -1~12코스의 설명 현황을 중심으로-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제주 동백동산 습지 방문객을 사례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