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 지역브랜드화를 위한 ‘설문대할망’ 콘텐츠 IP 전략 연구
이용수 87
- 영문명
- Content IP Strategy for Jeju Regional Branding IP Strategy Research for ‘Seolmundaehalmang’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전윤경(Jeon, Yun-Kyung)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0권, 139~182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그동안 제주도에서는 ‘설문대할망’을 애니메이션, 테마파크 등의 문화콘텐츠 분야로
활용하기위해 노력했다. 학계에서도 ‘설문대할망’을 활용하여 문화 기획이 필요하다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처럼 학계와 현장의 노력이 있었지만 ‘설문대할망’은 아직까지 대
중에게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설문대할망’의 이미지화를 통
해 제주도의 지역브랜드로 만들 수 있는 콘텐츠 IP 전략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콘텐츠 IP의 중요성과 전략의 필요 요소에 대해 논의한
다. 다음으로 이를 기준으로 그동안 ‘설문대할망’을 콘텐츠로 활용한 사례를 분석한 후
문화원형을 콘텐츠 IP로 활용하여 성공한 일본사례를 비교하여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제주도의 ‘설문대할망’을 콘텐츠 IP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밝
힌다.
연구결과 ‘설문대할망’을 콘텐츠 IP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은 첫째, ‘설문대할
망’ 콘텐츠 창작의 범위를 제주도의 ‘신화’, ‘전설’, ‘역사’, ‘동화’ 등 폭넓고 유연하게
소재를 활용함으로써 ‘창작의 확장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다. 둘째, 역사와 신화, 각
창작자만의 철학을 담는 등의 방식으로 ‘설문대할망’의 이미지와 캐릭터 설정을 구체화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설문대할망’의 제한된 역할을 확장한다. 셋째, ‘설문대할망’의
콘셉트로 구체화되는 작품의 소재, 설정, 세계관의 설정을 강화하고 활용한다.
영문 초록
In the past, Jeju Island has tried to utilize the character of the island's representative
tale, 'Seolmuundaehalmang', in cultural contents such as animation and theme parks.
Academics have also conducted research on the need for cultural planning utilizing
'Seolmundaehalmang'. Despite these efforts, 'Seolmundaehalmang' has yet to be
recognized by the public as icon of Jeju. In this paper, we examine a content IP strategy
for branding the Jeju Island with the character of 'Seolmundaehalmang'.ᅠ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discusses the importance of content IP and the necessary elements of a
strategy. Based on this, the paper then analyzes cases that have been utilized as content
and compares them with successful Japanese cases of utilizing cultural archetypes as
content IP. Finall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paper reveals a strategy for
utilizing Jeju Island's 'Seolmundaehalmang' as content IP.
The paper's results show that a strategy for to utilizing 'Seolmundaehalmang' as a
content IP first requires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Seolmundaehalmang' content
creation by having it engaged in a wide range of contents such as Jeju Island's 'myths',
'legends', 'history', and 'fairy tales' in a flexible manner. Second, the image and
characterization of 'Seolmundaehalmang' should be refined by incorporating history,
mythology, and each creator's own philosophy. By doing so, they expand its limited role.
Third, we must strengthen and utilize the material, setting, and world view of the work,
which are embodied in the concept of 'Seolmundaehalmang'.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일제주인의 재일(在日)사회 발전에 대한 공헌
- 2000년대 제주 이주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 제주 지역브랜드화를 위한 ‘설문대할망’ 콘텐츠 IP 전략 연구
- 제주도연구 제60권 목차
- 거문오름 일대 삼나무림 간벌이 하층식물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제주목사 이형상 인식 연구
- 사진작가 김영갑에게 있어 제주도의 공간적 의미 -자전적 에세이집『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그 섬에 내가 있었네』를 대상으로-
-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솔잎 발효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 조선 시대 정의현 유배인 연구
- 제주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 아프리카 ‘주민주도적 학교 만들기’에 대한 교육적 의미 -부룬디 공화국 ‘최정숙여자고등학교’ 설립을 중심으로-
- 성읍민속마을의 관광객 평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중심으로-
- 제주올레길에서 발견되는 제주방언 지명 연구 -1~12코스의 설명 현황을 중심으로-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제주 동백동산 습지 방문객을 사례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