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솔잎 발효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이용수 80
- 영문명
- Functional Research on Fermented Pine Needles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ic Materials for Acne Improvement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이윤지(Lee, Yoon-ji) 윤원종(Yoon, Weon-Jong)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0권, 341~35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하여 솔잎 추출물에 대하여 발
효를 실시하고 그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발효에 사용한 미
생물은 제주에서 채집한 시료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B. coagulans KK7 균주, L. brevis
GJ26 균주, P. acidilactici BDD10 균주를 사용하였다. 솔잎 추출물과 솔잎 발효 추출
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으로 평가하였다. 솔잎 발효 추출물이 솔잎
추출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솔잎 발효 추출물이 여드름 개선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질환
주 원인균인 C. acnes, S. epidermidis, S. aureus 대상으로 in vitro 항균 실험을 수행
한 결과 해당 발효물의 C. acnes 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BDD10
솔잎 발효물의 경우 발효 전과 비교하였을 때 보다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활용한 솔잎 발효물이 항산화, 항균 기능성
을 가지는 새로운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pine needles were fermented with microorganisms originated from
Jeju island and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fermented extracts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new cosmetic materials. The microorganisms used for
fermentation were Bacillus coagulans KK7 strain, Lactobacillus brevis GJ26 strain, and
Pediococcus acidilactici BDD10 strain isolated from Jeju.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fermented and non-fermented pine needles extracts were evaluated b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fermented pine
needles extract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non-fermented pine needles extracts.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fermented pine needle extracts can be used as acne
improvement materials, antibacterial tests were conducted on Cutibacterium acnes,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S. aureus.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fermented
and non-fermented pine needles extracts against C. acnes were confirmed, and the
extracts of pine needles fermented by BDD10 strain showed better antibacterial activity
compared to non-fermented pine needles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rmented
pine needles can be used as a new cosmetic material with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function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일제주인의 재일(在日)사회 발전에 대한 공헌
- 2000년대 제주 이주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 제주 지역브랜드화를 위한 ‘설문대할망’ 콘텐츠 IP 전략 연구
- 제주도연구 제60권 목차
- 거문오름 일대 삼나무림 간벌이 하층식물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제주목사 이형상 인식 연구
- 사진작가 김영갑에게 있어 제주도의 공간적 의미 -자전적 에세이집『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그 섬에 내가 있었네』를 대상으로-
-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솔잎 발효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 조선 시대 정의현 유배인 연구
- 제주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 아프리카 ‘주민주도적 학교 만들기’에 대한 교육적 의미 -부룬디 공화국 ‘최정숙여자고등학교’ 설립을 중심으로-
- 성읍민속마을의 관광객 평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중심으로-
- 제주올레길에서 발견되는 제주방언 지명 연구 -1~12코스의 설명 현황을 중심으로-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제주 동백동산 습지 방문객을 사례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