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0년대 제주 이주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이용수 149
- 영문명
- A New Approach to Regional Migration to Jeju in the 2000s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김민영(Kim, Min-Young)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0권, 183~2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구이동의 변화는 하나의 사회적 지표로써 사회상을 반영한다. 과거 한국의 인구이동은 근대화의 압축성장 흐름을 반영한 이촌향도가 주된 흐름이었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 대도시권의 인구 유출이 인구 유입을 넘어서기 시작하면서 과거와 다른 인구이동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제주 역시 2010년을 기점으로 순유입 인구가 순유출 인구를 넘어서 제주의 인구가 증가됐다. 본 논문은 제주 이주가 제주지역만의 특성이 아닌 한국 사회 역도시화 현상의 하나임에 주목하여, 2010년 이후 제주의 급속한 인구 증가 원인이 된 제주 이주를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 인구이동의 역도시화 현상 연구를 검토한 후 그와 연관하여 제주 이주의 연구 흐름을 검토한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이주 양상을 보이는 제주 이주를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새로운 이론적 접근으로서 모빌리티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해 본다.
영문 초록
Changes in population movement are a social indicator and reflect the state of society.
In the past, Korea's population movement was dominated by outward movement from central cities, reflecting the compressed growth of modernization. However, since the 2000s, population outflows from metropolitan areas have begun to exceed population inflows, indicating a change in population movement from the past. In the case of Jeju, inflow of people has exceeded the outflow of people since 2010.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adequately analyze regional migration to Jeju as a cause of the rapid population growth in Jeju since 2010, noting that migration is not a characteristic of Jeju but a phenomenon of counterurbanization in Korean society. I first reviews the flow of research on regional migration to Jeju and then reviews the research on the counterurbanization of population movement in Korea.
Based on this, the applicability of mobility theory as a new theoretical approach is explored in order to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study regional migration to Jeju, which exhibits various regional migration pattern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일제주인의 재일(在日)사회 발전에 대한 공헌
- 2000년대 제주 이주 연구를 위한 이론적 모색
- 제주 지역브랜드화를 위한 ‘설문대할망’ 콘텐츠 IP 전략 연구
- 제주도연구 제60권 목차
- 거문오름 일대 삼나무림 간벌이 하층식물 분포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제주목사 이형상 인식 연구
- 사진작가 김영갑에게 있어 제주도의 공간적 의미 -자전적 에세이집『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그 섬에 내가 있었네』를 대상으로-
-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솔잎 발효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 조선 시대 정의현 유배인 연구
- 제주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 아프리카 ‘주민주도적 학교 만들기’에 대한 교육적 의미 -부룬디 공화국 ‘최정숙여자고등학교’ 설립을 중심으로-
- 성읍민속마을의 관광객 평가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 -트립어드바이저 리뷰를 중심으로-
- 제주올레길에서 발견되는 제주방언 지명 연구 -1~12코스의 설명 현황을 중심으로-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제주 동백동산 습지 방문객을 사례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제주도연구 제63권 목차
- 17세기 초 ‘유구(琉球) 왕자 제주 살해설’이라는 소문과 그 역사적 배경 - 제주도에 대한 ‘출륙금지령’과 관련하여
- 제주특별자치도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