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공간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연구
이용수 82
- 영문명
- Basic Data Research for Exhibition Space Management in the Post-COVID Era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정희정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2(통권 27권), 388~399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포스트[POST] 코로나 시대를 맞아 우리는 다양한 전시공간의 운영 방향에 대하여 고민하게 되었고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외 일부 전시공간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전시공간의 기존 운영방식인 오프라인 전시가 디지털 환경의 온라인 전시에 비하여 현장감이 있으며 실물 전시를 통한 작품의 이해도가 쉽고 공감력과 감성 교감이 장점으로 작용되어 온라인 전시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비대면 콘텐츠는 기존 오프라인의 전시 운영을 대신하는 대체 역할이 아닌 오프라인 전시의 보조 역할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하루가 다르게 변화되는 디지털 환경에 따라 전시공간 운영도 그에 대응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여러 분야에서의 다각적이고 다차원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post-COVID era, people began to think about different ways to manage these exhibition spaces. To this end,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elected exhibition spaces at home and abroad and conducted a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offline exhibitions, the traditional way of exhibition space management, are preferred to online exhibitions because they are more realistic and easier to understand, and the audience can relate to and interact with them more easily. This suggests that non-face-to-face content is not a substitute for existing offline exhibition spaces, but a complement to them. However, in response to the ever-changing digital environment, exhibition spaces should seek ways to adapt to these changes, and this warrants further research in a number of areas.
목차
1. 서론
2. COVID-19 상황의 전시공간 운영현황 조사
3. 전시공간 시설 현황 조사
4. 설문조사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디자인 전공수업 사례 연구
- 운동 앱의 감성 체험 향상을 위한 UI 디자인 연구
- SNS 이용 목적과 사용자의 성격 5요인에 따른 아바타 추구 유형 연구
- 만화콘텐츠 교육을 위한 미국 대학 교과과정 분석 및 제언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공간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연구
-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성능 디자인 비교 연구
- 플렉서블디자인효과 조율을 위한 3D유닛패턴 디자인방법 체계화
-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장소정체성 요소로서의 공공예술 활용이 문화마을의 경관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전시환경내 알파세대를 위한 어포던스 요소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에 기초한 장부장난감의 사용자 수요 분석 연구
-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AR/VR/MR) 비교분석 및 활용방안
- 메타버스를 위한 3D 디자인 시스템 분석 및 제안
- UI/UX 디자인 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NFT 가상패션의 담론과 디자인 표현 특성 연구
- 패키지디자인의 다의적 그래픽 표현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게임 내 시각 및 촉각적 요소가 게임 사용자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뉴트로 패키지디자인의 감성요소가 소비자 구매심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 도서관 내 협업 공간의 경험 디자인
- 대학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디자인 특성이 학생들의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 아파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중국 문구 브랜드의 효율적인 패키지디자인 강화에 관한 연구
- 여성장애인 생애주기 보조를 위한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매체 재현전략 연구
- 교수자의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사용성 평가
-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과목 연계 색채 실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분석
-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행사례 연구
- 인터랙티브가 적용된 스포츠 의류 전문점에 대한 연구
- 확장현실(XR) 기술을 적용한 공연예술 관한 연구
- 국내 감염병 현황 대시보드 디자인 패턴 분석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UX/UI 디자인 수업 과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