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감염병 현황 대시보드 디자인 패턴 분석
이용수 59
- 영문명
- Analysis of Dashboard Design Patterns of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김민정 이하나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2(통권 27권), 90~102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팬데믹 상황에서 중요해진 질병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대시보드 디자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감염병관리지원단의 대시보드는 주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며, 방대한 데이터 세트를 상세한 차트 등을 활용하여 대시보드를 구축하고 있다. 분석 결과, 지역별로 데이터의 특성에 맞게 맞춤화된 시각화를 적용하고 있으나, 사용성 측면에서 디자인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감염병 대시보드는 사용자 유형에 따른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개인 맞춤형 및 공공 감염병 현황 대시보드로 발전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UX/UI 디자이너 및 데이터 시각화 전문가의 협력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감염 현황에 대한 거시적인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는 감염현황 대시보드 개선에 중요한 요소를 제시하며, 대시보드 구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e era of the pandemic, the importance of disease data visualization has been underscored.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design of disease data dashboards, specifically focusing on those utilized by the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support teams. These dashboards, primarily intended for professional use, employ detailed charts to represent extensive data sets. Our analysis reveals that while there has been a concerted effort to customize visualizations to fit region-specific data, significant enhancements from a usability perspective are required. Consequently, we argue that infectious disease dashboards should progress towards accommodating personalized and public health needs, taking into account the divergent requirements across user types. In this transformation, the synergistic collaboration of UX/UI designers and data visualization experts is deemed indispensable, with the ultimate aim to construct a system capable of providing macroscopic insights into infection statuses. This study hence contributes to the ongoing discourse by proposing vital elements for the improvement of infectious disease dashboards, anticipating its findings to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in the effective construction of future dashboards.
목차
1. 서론
2. 대시보드 이해
3. 감염병관리 대시보드 분석
4.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디자인 전공수업 사례 연구
- 운동 앱의 감성 체험 향상을 위한 UI 디자인 연구
- SNS 이용 목적과 사용자의 성격 5요인에 따른 아바타 추구 유형 연구
- 만화콘텐츠 교육을 위한 미국 대학 교과과정 분석 및 제언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공간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연구
-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성능 디자인 비교 연구
- 플렉서블디자인효과 조율을 위한 3D유닛패턴 디자인방법 체계화
-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장소정체성 요소로서의 공공예술 활용이 문화마을의 경관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전시환경내 알파세대를 위한 어포던스 요소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에 기초한 장부장난감의 사용자 수요 분석 연구
-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AR/VR/MR) 비교분석 및 활용방안
- 메타버스를 위한 3D 디자인 시스템 분석 및 제안
- UI/UX 디자인 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NFT 가상패션의 담론과 디자인 표현 특성 연구
- 패키지디자인의 다의적 그래픽 표현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게임 내 시각 및 촉각적 요소가 게임 사용자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뉴트로 패키지디자인의 감성요소가 소비자 구매심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 도서관 내 협업 공간의 경험 디자인
- 대학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디자인 특성이 학생들의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 아파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중국 문구 브랜드의 효율적인 패키지디자인 강화에 관한 연구
- 여성장애인 생애주기 보조를 위한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매체 재현전략 연구
- 교수자의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사용성 평가
-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과목 연계 색채 실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분석
-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행사례 연구
- 인터랙티브가 적용된 스포츠 의류 전문점에 대한 연구
- 확장현실(XR) 기술을 적용한 공연예술 관한 연구
- 국내 감염병 현황 대시보드 디자인 패턴 분석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UX/UI 디자인 수업 과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