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용수 58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ro Servicescape Evaluation Tool Based on Service Design Focusing on Busan Metro Servicescap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용가흥 이성필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2(통권 27권), 220~231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회와 경제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지하철에 대한 요구사항도 빠르고 안전하며 질서정연한 이동 수단에서 고품질의 편안함과 폭넓은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유형 상품과 달리 서비스는 무형적이고 추상적이므로 사용자가 인식하고 평가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지하철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기존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스케이프의 연구와 이용자들의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에 도움이 되는 서비스 디자인 시각화 도구를 통해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를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스케이프와 서비스 디자인 시각화 도구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의 6가지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사용하여 검증하고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를 사용할 때 평가 대상으로 부산 도시철도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1)청결성(60점分), (2)공간성(50점分), (3)쾌적성, 안전성(48점分), (4)편의성(44점分), (5)심미성, 개방성, 정보성(35점分), (6)사회성(29점分), (7)오락성(26점分)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심층 인터뷰와 사례분석을 통해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는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시 보조 역할을 함으로써 평가 프로세스를 질서있게 하며 기업 구성요소부분도 평가 프로세스에 가치 있는 참고 자료를 제공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영문 초록
With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people's pursuit of service quality is getting higher and higher, and the requirements for metros have also changed from fast, safe, and orderly means of movement to providing high-quality comfort and a full range of service experience. It is difficult to be perceived and evaluated by users. Therefore, to enable users to feel the service more intuitivel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invisible service tangible. Therefore,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the metro,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metro servicescape, the metro service scene evaluation tool is developed through the research on the servicescape and service design visualization tools to help users evaluate the metro servicescape. This research studies the correlation between servicescape and service design visualization tools and derives six components of metro servicescape evaluation tools, and uses the Expert in-depth interview to verify and apply them. Therefore, this paper chooses Busan Metro as the object to evaluate when using the metro servicescape evaluation t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Cleanliness: 60 points, (2)Spatiality: 50 points, (3)Comfort, Safety: 48 points, (4)Convenience: 44 points, (5)Aesthetics, Openness, Information: 35 points, (6)Sociality: 29 points, (7)Entertainment: 26 points. Through in-depth expert interviews and case studies, it was concluded that the subway servicescape evaluation tool plays an auxiliary role in the metro servicescape evaluation, orderly the evaluation process, and the corporate parts also provide valuable reference materials for the evaluation proces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
4.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부산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에 평가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디자인 전공수업 사례 연구
- 운동 앱의 감성 체험 향상을 위한 UI 디자인 연구
- SNS 이용 목적과 사용자의 성격 5요인에 따른 아바타 추구 유형 연구
- 만화콘텐츠 교육을 위한 미국 대학 교과과정 분석 및 제언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공간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연구
-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성능 디자인 비교 연구
- 플렉서블디자인효과 조율을 위한 3D유닛패턴 디자인방법 체계화
-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장소정체성 요소로서의 공공예술 활용이 문화마을의 경관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전시환경내 알파세대를 위한 어포던스 요소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에 기초한 장부장난감의 사용자 수요 분석 연구
-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AR/VR/MR) 비교분석 및 활용방안
- 메타버스를 위한 3D 디자인 시스템 분석 및 제안
- UI/UX 디자인 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NFT 가상패션의 담론과 디자인 표현 특성 연구
- 패키지디자인의 다의적 그래픽 표현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게임 내 시각 및 촉각적 요소가 게임 사용자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뉴트로 패키지디자인의 감성요소가 소비자 구매심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 도서관 내 협업 공간의 경험 디자인
- 대학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디자인 특성이 학생들의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 아파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중국 문구 브랜드의 효율적인 패키지디자인 강화에 관한 연구
- 여성장애인 생애주기 보조를 위한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매체 재현전략 연구
- 교수자의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사용성 평가
-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과목 연계 색채 실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분석
-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행사례 연구
- 인터랙티브가 적용된 스포츠 의류 전문점에 대한 연구
- 확장현실(XR) 기술을 적용한 공연예술 관한 연구
- 국내 감염병 현황 대시보드 디자인 패턴 분석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UX/UI 디자인 수업 과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