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ANO 모델에 기초한 장부장난감의 사용자 수요 분석 연구
이용수 60
- 영문명
- Analysis and Research on User Demand of Mortise and Tenon Toys: Based on KANO Model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허아남 이성원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2(통권 27권), 9~2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부장난감(榫卯玩具)은 어린이들에게 전통문화를 교육하는 완벽한 매개체이다. 본 연구는 KJ 법과 Kano 법을 사용하여 장부장난감에 대한 사용자 수요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1)KJ 법을 사용하여 장부장난감 제품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수요를 도출하고 수요 목록을 구축하였다.( 2) Kano 모델을 구축하여 도출된 18개의 사용자 수요에 대해 긍정적인 조사 및 부정적인 조사를 수행하고 데이터를 통계 분석을 하여 각 사용자 수요 항목의 분류를 정리하였다. (3) Better-Worse 계산 결과에 따라 만족도의 사분면 산점도를 구성하였다. (4)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매력적 품질속성(A)이 4개, 당연적 품질속성(M)이 7개, 일원적 품질속성(O)이 3개, 무관심 품질속성(I)이 4개를 포함된 것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장부장난감 제품 디자인의 발전을 추진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장난감 디자인에 이론적 참고를 마련할 수 있어서 중요한 연구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Mortise and tenon toys are the perfect carrier for educating children about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analyzed and studied the user needs and satisfaction of ledger toys using the KJ and Kano methods. (1) The KJ method was used to obtain the user's requirements for the functionality of the mortise and tenon toys product, and a requirement list was established. (2) Establish a Kano model, conduct positive and negative surveys on the 18 user needs obtained, and conduct statistical analysis on the data, sorting out the classification of each user demand item. (3) Based on the Better-Worse calculation results, a quadrilateral scatter plot of satisfaction was constructed. (4)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our attractive quality attributes (A), seven natural quality attributes (M), three monistic quality attributes (O), and four indifferent quality attributes (I) were identified. This study not onl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product design for mortise and tenon toys, but also provides theoretical reference for future toy design, which has important research significanc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분석
4. 실증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디자인 전공수업 사례 연구
- 운동 앱의 감성 체험 향상을 위한 UI 디자인 연구
- SNS 이용 목적과 사용자의 성격 5요인에 따른 아바타 추구 유형 연구
- 만화콘텐츠 교육을 위한 미국 대학 교과과정 분석 및 제언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공간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연구
-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성능 디자인 비교 연구
- 플렉서블디자인효과 조율을 위한 3D유닛패턴 디자인방법 체계화
-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장소정체성 요소로서의 공공예술 활용이 문화마을의 경관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전시환경내 알파세대를 위한 어포던스 요소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에 기초한 장부장난감의 사용자 수요 분석 연구
-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AR/VR/MR) 비교분석 및 활용방안
- 메타버스를 위한 3D 디자인 시스템 분석 및 제안
- UI/UX 디자인 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NFT 가상패션의 담론과 디자인 표현 특성 연구
- 패키지디자인의 다의적 그래픽 표현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게임 내 시각 및 촉각적 요소가 게임 사용자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뉴트로 패키지디자인의 감성요소가 소비자 구매심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 도서관 내 협업 공간의 경험 디자인
- 대학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디자인 특성이 학생들의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 아파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중국 문구 브랜드의 효율적인 패키지디자인 강화에 관한 연구
- 여성장애인 생애주기 보조를 위한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매체 재현전략 연구
- 교수자의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사용성 평가
-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과목 연계 색채 실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분석
-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행사례 연구
- 인터랙티브가 적용된 스포츠 의류 전문점에 대한 연구
- 확장현실(XR) 기술을 적용한 공연예술 관한 연구
- 국내 감염병 현황 대시보드 디자인 패턴 분석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UX/UI 디자인 수업 과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